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최혜정 전문가
한우리독서토론논술
Q.  친구와 자주 다투는 아이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친구와 자주 갈등을 일으킨다면 먼저 감정표현하는 방법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갈등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화하는 방법을 연습시키고 엄마와 함께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서로의 입장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와 부모님 역시 평소 아이의 입장을 이해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도 공감을 받아봐야 다른 사람을 공감할 수 있습니다.
Q.  아이들 교육을 위해 집안일을 시키고 있는데 아이가 싫어하네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집안일에 대해 책임감을 키우려면 나이와 능력에 맞는 간단한 일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칭찬과 보상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주고 집안일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만들거나 가족 모두 함께 참여하는 활동으로 바꿔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고를 수 있게 하면 더 협력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강압적으로 해야한다고 말하는 것 보다는 식기를 치우거나 식탁을 닦았을 때 ' ~가 닦아주니 엄마가 너무 편하고 좋네. 고마워~'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잔소리처럼 하라고 하는 것보다 한번의 칭찬이 아이들에게 더 좋은 효과를 가지고 옵니다. 집안일을 해야하는 책임감도 강압적인 분위기에서는 가지기 힘듭니다.함께 한 집에서 사는 공동체로 함께 집안일을 해야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서로 따뜻한 말로 격려와 칭찬으로 집안일을 하나씩 함께 해 나가는게 좋습니다.
Q.  아이가 작은 일에도 쉽게 화를 내거나 울 때, 정서적 반응을 조절하는 능력을 어떻게 길러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정서적 반응을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분하게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하고, 깊게 호흡하거나 잠시 멈춰서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아이가 화가 올라오는 게 보일때 보호자는 아이에게 깊게 호흡하는 방법을 보여주세요. 평소에도 아이에게 화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방법을 알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훈육할 때는 아이의 검정을 무시하지 않고 감정을 건강하게 다루는 방법을 보여주고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이 화를 많이 내는 걸 본다면 아이 역시 문제가 생겼을 때 같은 방법으로 화를 낼 가능성이 큽니다. 공감을 많이 받은 아이는 화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집니다. 평소 아이의 말에 공감해주고 아이의 마음을 많이 물어봐주고 이해해 주세요.
Q.  초등학교 6학년 아이 스마트폰 사용 어떻게 관리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초등학생 6학년 아이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잘 관리하려면 사용시간에 제한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 조절 능력을 갖지 못한 아이들에게 한 없이 폰 사용을 허락해 준다면, 아이는 자기 조절능력도 기르지 못하고 계속 더 폰에 집착하게 됩니다. 숙제를 다 마친 후 1시간 혹은 2시간 사용하기, 주말에만 사용하기 등 아이와 함께 적당한 시간을 협의해서 정하고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명확한 규칙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시간이나 잠자리 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거나 숙제하고 사용하기 등. 정확한 규칙을 세우고 지키도록 합니다. 마지막 방법으로는 스마트폰 대신 즐길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밖에서 놀지도 않고 스마트폰만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폰보다 재미있는 것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독서나 스포츠, 가족 게임 등. 스마트폰 하는 즐거움 외에도 재밌는 것들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 및 체험을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Q.  어린이집에서 친구의 실수에 의해 다쳤는데 사과는 안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어린이 집에서 아이가 다쳐 눈 주변을 꿰매야 하는 일이 생겼다니 클날 뻔 했네요.흉터도 남을 수 있다니.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아이도 부모님도 정말 많이 놀랐겠어요. 다치게 한 아이가 고의성이 없다고 해서 그 아이의 부모는 알아야 할 것 같은데요. 사과가 없었다니 담임 선생님께서 알리지 않으셨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래도 아이가 다침 정도가 심한데 사과라도 받아야 할 것 같네요. 담임 선생님께 한번 물어보시고 상황을 알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