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1월 15일 작성 됨
Q.
떼쓰고있는 아이 달래주지않고 계속 울게해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아이가 떼를 쓰고 있는 상황이라면 울어도 소용없다는 것을 알게 할 필요는 있습니다. 따라서 울음을 그치거나 진정되면 이야기하자고 얘기해 주시고 시간을 주시기 바랍니다. 기다려 주시거나 지켜보기 힘들다면 다른 방에서 기다리겠다고 하고 아이가 스스로 울음을 그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진정되면 아이가 왜 울었는지 물어봐 주시고 그래도 운다고 해줄 수 없다는 것을 아이 눈 높이에서 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즉, 무시하고 계속 울게 하기 보다는 평정심을 갖고 다 울 때까지 기다려주시고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고 통제할 연습을 할 수 있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영어 잘 하기 위해 어떤 환경을 만들어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일단은 듣기 환경을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영유를 다니든 학원을 다니든, 아니면 가정에서 지도하시든 영어의 시작은 듣기입니다. 듣기 환경이 잘 만들어진다면 영어에 대한 감과 실력이 배로 늘기 때문에 영어 음원이나 영상을 통해 소리 노출을 자주 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가기 전 준비하면 좋은것들이 무엇이 잇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질문에 언급하신 것들 외에는 화장실 뒤처리, 젓가락질, 우유곽 따기 등을 미리 연습해가면 적응이 더 쉬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잘 못해보고 학교에 가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능숙해질테니 큰 걱정은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낯선 환경을 싫어하고 겁내해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아이가 처음엔 힘들어도 결국 잘 적응하고 좋아한다면 꾸준히 그러한 경험을 제공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지만 1회성 수업보다는 최소 10회 이상 지속되는 수업이 더 좋겠습니다. 아이가 처음에는 긴장되고 불안해도 수업이 거듭될수록 적응을 하고 즐기는 경험을 하면서 결국 재밌게 할 수 있음을 스스로 느끼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인성 그림책 등을 통해 처음은 누구나 어렵고 적응이 되면 괜찮아진다는 것을 간접 체험하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38개월 주말에 티비를 보여주는데 한시간씩 총 3시간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총 3시간은 많은 편이므로 총 시청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래도 3시간을 한꺼번에 노출하는 것보다 조금씩 자주 노출하는 것이 영상 중독을 예방하는 방법이긴 하지만 그래도 3시간은 평균 시청 시간에 비해 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총 시청 시간이 1시간~시간 반을 넘지 않도록 해주세요.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5일 작성 됨
Q.
마음과 아량이 넓은 아이로 성장하게 하려면 어찌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우선은 가정에서 아이가 본인의 감정을 수용 받고 이해 받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부모님께서 신경 써 주시고 여러가지 감정 언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감정 마다 이름을 알려주고 아이가 느끼는 감정이 어떤 것인지 알려주면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읽을 수 있는 눈이 길러져 공감 능력이 생기고 배려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5일 작성 됨
Q.
자녀 성격에 맞는 적절한 칭찬방법있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아이들에게 칭찬을 많이 해주는 것보다는 적절히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인정 욕구가 강한 아이들의 경우 부모님께 받는 칭찬이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경 써 주셔야 하는데요 결과 중심의 칭찬보다는 과정 중심의 칭찬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잘했다', '좋다' 등의 결과에 대한 칭찬보다는 결과와 상관없이 아이가 얼마나 노력했는지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찬가지로 외모나 자신이 타고난 것에 대한 칭찬보다는 아이가 노력해서 변화된 모습에 대해서 칭찬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25일 작성 됨
Q.
아기에게 적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수면하는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맞춰주시고 조도도 신경써 주시기 바랍니다. 온도는 24-25도가 적당하며 습도도 45-55%로 맞춰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열이 많은 아이라면 조금 더 온도를 낮춰주시고 잠든지 1시간 후에 온도를 높이시면 됩니다. 또 빛이 아예 없어야 숙면을 취할 수 있으므로 잠들기 전에는 약한 조명을 켜 놓았더라도 아이가 잠든 후에는 완전히 조명을 꺼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25일 작성 됨
Q.
선행학습이 좋은걸까요. 요즘은 초등학생이 고등학교까지 선행학습을 시킨다는데요. 이게 좋은걸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아이 본인이 능력과 의지에 달렸다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현행을 충분히 따라가고 현행 심화까지 소화할 능력이 된다면 진도를 더 나가도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현행을 잘 다져나가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특히 수학의 경우 진도가 나선형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현재의 진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소화해야 다음 내용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변 친구들의 진도보다 아이의 수준과 진도에 맞춰 계획하시길 권해드립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5일 작성 됨
Q.
놀아달라고 떼쓰는 아이에게 훈육을 시작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훈육은 아이에게 해야 될 행동과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알려주는 과정이며 한 번에 되기 보다 반복적으로 알려주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조금씩 말이나 행동으로 아이에게 '항상 안아줄 수는 없음'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혼내거나 부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 눈을 마주치고 아이에게 지금은 안아줄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해주고 엄마의 일이 끝나면 안아주겠다고 하세요. 그리고 여유가 되실 때는 기다려줘서 고맙다고 하면서 충분히 안아주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하면 아이도 점점 떼를 쓰기보다 엄마를 기다려 줄 수 있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