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4년 11월 20일 작성 됨
Q.
아이와 시간을 더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아이와 함께 다양한 그림책을 읽어보시길 추천해드립니다. 엄마 아빠의 목소리로 그림책을 읽어주면 아이의 정서도 안정될 뿐 아니라 아이의 관심사를 파악하는 것에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와 그림책에 관련된 활동도 해보고 관련 장소도 방문해보다 보면 아이의 관심사가 보일 것입니다. 그럼 그 주제와 관련된 책이나 활동을 더 지원해 주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11월 20일 작성 됨
Q.
아이들은 요즘에도 친구들과 공기놀이 같은걸 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요즘 아이들은 질문에 언급하신 것과 같이 주로 게임을 하거나 좋아하는 가수의 음악을 들으며 노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학원에 가지 않는 시간에 놀이터에서 만나더라도 공기 놀이나 고무줄 놀이를 하는 친구들은 찾아보기 힘든데요 어른들이 나서서 이러한 놀이 문화를 전해 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아이가 거짓말을 자주 할 때,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거짓말을 했다고 혼내거나 꾸짖지 마시고 아이의 실수나 잘못을 이해해주시고 그것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이라고 잘 위로해 주신다면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실수해도 괜찮다는 것을 알려주시고 실수를 통해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경쟁심이 심해서 지면 화를 내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승부욕이 강한 아이의 경우에는 '져도 된다.' '누구나 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한다.' 등의 이야기에는 잘 공감하지 못할 것입니다. 대신 졌을 때 화를 내거나 우는 것은 멋있지 않기에 졌을 때도 그것을 인정하고 이긴 아이를 축하해 주는 것이 이기는 것 만큼 멋있는 것이라고 이야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져서 속상한 것은 당연한 감정이기에 아이의 감정을 존중해주되 아이가 그 감정을 이기고 다시 게임에 도전할 때 크게 칭찬해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아기가 새로운 환경을 경험할 때마다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기를 어떻게 도와주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감각이 예민한 아이의 경우 새로운 환경 변화를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식당이나 장소에 들어가기 꺼려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좋아지기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새 집, 새로운 기관(어린이집) 등에 가기 전에는 아이가 충분히 적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새 집의 경우에도 아이가 좋아할 만한 그림을 걸어두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의 인형을 두는 등 아이가 좋아하고 익숙한 것을 두어 서서히 적응할 수 있게 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6살 아이는 저녁에 몇 시쯤 잠자리에 들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보통 9시부터는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수면 패턴을 맞춰 주시기 바랍니다. 낮동안 신체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해주시되 자기 1시간 전부터는 격한 활동은 하지 않게 해주세요. 그리고 저녁 식사메뉴나 잠자기 전에 칼슘을 먹어서 아이의 신경이 안정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의 자리는 어떻게 배치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정해진 배치방법은 없고 선생님의 재량에 따라 다릅니다. 다만 처음 입학해서는 이름 다나다 순 등으로 정했다가 일정 기간 동안 앉은 후 자리 배치를 수시로 바꾸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수학을 배울 때 교구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수학의 경우 숫자라는 기호를 통해 수의 원리를 배우는 추상적인 학문이므로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구체물을 통해 수의 개념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다양한 교구로 수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책은 엄마나 아빠가 언제까지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아이가 한글을 떼고 책을 읽기 시작한다고 해서 해석하는 능력까지 생기는 것은 아니기에 아이가 원한다면 최대한 오래 책을 읽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책을 읽어주는 시간은 단순히 책 내용이해를 도와주는 것을 넘어 아이와 교감하고 엄마, 아빠와 사랑을 나누는 시간이기에 최대한 많은 시간을 보내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생들 요즘보통다 한자 공부를하고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급수가 높을수록 좋겠지만 중,고등학교 때의 공부와 직결되는 문해력을 위해서는 3~4급 정도까지만 되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급수 나 알고 있는 한자어의 수에 연연하기 보다는 한자어 하나라도 자세하고 깊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그 한자어에서 파생되는 단어와 반의어 유의어에 대해 공부하는 체계적이고 깊은 공부가 필요하고 독서도 동반되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