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20개월 아기 자꾸 물건을 집어던지네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0개월이면 아직 훈육을 할 시기도 아니고 훈육을 해도 효과가 있을 시기가 아닙니다.아이는 말씀하신대로 물건을 던지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하는 것이기에 아이가 위험한 물건을 던지지 않는 이상은 크게 제지하지 마시고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쪽에 푹신한 이불 등을 깔아주시고 위험한 것을 집었을 때는 공이나 가벼운 물건으로 대체해 주시면서 간단하게 '이건 위험해. 안돼.'라고만 알려주시면 됩니다.처음엔 아이가 잘 모르더라도 이와 같은 행동을 반복하다보면 커가면서 인지능력도 발달하고 여러 상황을 겪으면서 무엇이 되는지, 안되는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재접근기'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재접근기의 경우 16-18개월부터 시작되기에 9개월이라면 재접근기라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다른 환경의 변화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6-9개월 때 낯가림이 생기면서 가족이 아닌 사람들에게 낯가림을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12개월 정도 되면 아이가 걷기 시작하면서 부모에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낮아질 것입니다. 그 때까지는 아이가 엄마 아빠를 찾을 때 언제든 반응해 주시고 안아주시고 사랑을 표현해 주시기 바랍니다.이 시기의 부모의 사랑과 지지를 통해 아이들은 자신감을 얻고 세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소심한성격의아이들에게 태권도같은운동이성격바꾸는것에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타고난 성향과 기질은 쉽게 바뀌지 않지만 커가면서 여러 경험이나 친구관계를 통해서 얼마든지 바뀔 수 있기에 억지로 그런 경험을 시키진 마시기 바랍니다. 오히려 아이 성향에 소리지르고 운동하는 환경에 처해지면 더 부담스럽고 힘들어할 수 있으니 조심스럽게 접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태권도 관장님이나 선생님들이 세심하게 챙겨주시는 환경인지 등 고려해보셔서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아이가 스스로 뺨을 때리는 행동?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스트레스가 신체화된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감정을 처리하지 못할 때 신체 행동으로 나타나는데 잔소리를 듣거나 힘든 상황에서 그 상황 자체는 통제할 수 없으니 본인의 몸을 통해 스트레스를 푸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해보시고 아이와 이에 대해 대화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아기들 통잠은 언제부터 자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빠르면 100일부터도 통잠을 자는 아이들이 있어 '100일의 기적'이라는 말도 있지만 이것은 아이들마다 차이가 크기 때문에 통잠 자는 시기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잘 먹고 5시간이라도 질 좋은 수면을 한다면, 그리고 성장 곡선이 정상적이라면 걱정마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아기 응가를 잘 하게하는 마사지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배를 시계방향으로 마사지해 주시고 등 부분도 척추 주위로 가볍게 누르듯 마사지해 주시면 효과가 좋습니다. 또 두 발을 잡고 들어올려 항문 주의를 손가락으로 눌러주시는 것도 자극이 됩니다. 이 밖에 아이가 변 보기를 힘들어하면 변을 부드럽게 해주는 유산균을 먹여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니 가까운 소아과에 문의해서 먹여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아이가 1시간 이상 울 때 어떻게 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협박이나 겁을 주면서 억지로 울음을 그치게 하는 것도 좋지 않지만 아이가 떼쓰는 울음을 울 때 무작정 달래려고 요구를 들어주는 것도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울 때는 지금처럼 충분히 울게 두시되 아이가 다 울고 진정되면 이야기하자고 얘기해주셔서 아이가 울음을 스스로 그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울음 그치면 얘기하자, 기다려 줄게. 울음 뚝 그치면 엄마랑 얘기해.'라고 얘기해 주시면서 아이의 울음을 마냥 방치하지 말고 엄마가 자신에게 공감해주고 기다려 준다는 메시지는 보내주세요.그런 다음 아이가 울음을 그치면 아이와 차분하게 대화를 나눠보세요. 무작정 그렇게 떼쓴다고 들어줄 수 없으며 아이 요구를 들어줄 수 없는 이유를 아이 눈 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원하는 것이 있다면 생일이나 크리스마스 같은 특별한 날에 사거나 칭찬 스티커를 모아서 아이 노력으로 쟁취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아이는 울음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기 때문에 우는 행동이 자연스러운 것이나 나이가 들면서 점점 그러한 감정을 스스로 절제하고 무조건적인 울음이 아니라 말로 표현할 줄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처음 몇 번은 힘드시더라도 아이가 스스로 울음을 그치고 말로 표현하고 대화로 풀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11일 작성 됨
Q.
선행학습을 시켜야 할까요? 요즘 분위기가 최소1년은 선행이네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선행이 가능한지의 여부는 아이의 현행 진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판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현행진도를 충분히 따라가고 있고 현행의 기본과 응용 그리고 심화내용까지 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면 선행을 진행하셔도 됩니다.그렇지 않을 경우 현행에 대한 이해를 더 중요시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기본,응용,심화 문제집을 통해서 자체적으로 판단하시거나 학원의 레벨테스를 통해 판단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의 의지가 중요하기에 학원에 다니더라도 아이가 선행 진도를 따라가느라 너무 힘들어하고 부담스러워하진 않는지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이상과 현실 중 어떤 것을 중점으로 키워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 연령에 따라 다르게 접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논리적인 뇌, 전두엽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전인 영유아기 때는 무조건 칭찬하고 격려하시고 이상적인 면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지만 아이가 학령기에 접어들고 머리가 크기 시작한다면 무조건적인 위로와 격려보다는 현실을 알려주시고 이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친구에게 자꾸 자기것을 뺏긴다고 합니다. 어떻게 지도를 해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계속 양보하고 뺏기는 모습을 보면 속상하기 마련인데요 아이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시고 뺏겼을 때 기분이 어땠는지 물어보세요. 아이가 불쾌하고 기분 나빴다고 하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연습을 시키시는 것이 좋습니다. '내가 갖고 놀고 있는 장난감이야. 돌려줘.' 내지는 '내가 다 놀고 빌려줄게.' 이렇게 말할 수 있도록 연습시켜 보시기 바랍니다.하지만 아이가 아무렇지 않고 오히려 양보하고 싶어한다면 그러한 아이의 의사도 존중해주세요. 아이의 타고난 기질은 억지로 바뀔 수 없는 부분이고 커가면서 얼마든지 스스로 깨닫고 바뀔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