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5월 20일 작성 됨
Q.
보통 자녀 영어학원은 몇 살 정도에 보내는게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아이가 싫어한다면 억지로 보내도 효과를 얻긴 힘들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학원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영어를 노출하시면 3학년 영어 공교육이 시작됐을 때 이미 영어에 오래 노출된 아이들과의 갭을 줄일 수 있고 나중에 학원에 보내게 될 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영어 습득에 있어 중요한 것은 소리에 익숙해지는 것이기에 아이에게 영어 소리를 많이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영상은 영어로 보게 해주시고 음원도 많이 들려주세요. 그렇게 소리 노출을 적어도 1년 넘게 꾸준히 하시면 나중에 파닉스를 배우고 본격적인 영어 학습이 들어갈 때 훨씬 더 쉽게 배우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5월 20일 작성 됨
Q.
7살 아이에게 자전거 꼭 구입해주어야할까요?
안녕하세요,보통 미취학 시기에는 보조바퀴를 달아서 네 발 자전거를 타다가 초등학교에 진학하면서 보조 바퀴를 떼고 두 발 자전거 연습을 하는데요, 굳이 미리 들일 필요 없이 2학년 때 자기 몸집에 맞는 두발 자전거를 사서 아예 처음부터 두발 자전거로 배우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빠른 아이들은 유아 시기에도 두발 자전거를 타기도 하지만 초등 저학년 때 충분히 운동신경이 생기고 근육도 생겼을 때 배워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20일 작성 됨
Q.
어린이집에 가기 싫다고 투정이 다시시작되었어요.
안녕하세요,특별한 일이 없어도 아이들이 이따금씩 등원을 거부하고 떼쓰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들어주고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신다면 그것을 알고 더 떼를 쓸 수 있으니 가기 싫어도 가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해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투정부리고 떼를 쓰면 '가기 싫구나. 그래 그럴 때도 있지. 하지만 어린이집은 가야 해. 어린이집에서 재밌게 놀고 오후에 만나자.'라고 이야기 해 주시고 헤어질 때도 흔들리지 마시고 웃으면서 들여보내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등원하는 것을 너무 거부하고 힘들어한다면 어린이집 끝나고 재미있는 놀이를 계획해보시거나 함께 먹을 간식을 미리 정해두시는 등 '어린이집을 간다'는 것은 전제로 이야기 해 주시는 방법도 써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5월 20일 작성 됨
Q.
물건 던지는 11개월 아기 훈육법??
안녕하세요,이 시기 아이들은 물건을 던져보고 다양한 방법으로 만져보며 사물에 대해 파악합니다. 따라서 위험한 물건이 아니라면 아이에게 자율권을 주시고 폭신한 이불이나 쿠션을 깔아서 덜 위험한 상황을 만들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위험한 물건을 들 때는 위험하다고 알려주실 필요는 있습니다. 아직 완벽히 이해하지 못할 나이지만 그래도 계속 알려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5월 20일 작성 됨
Q.
아기는 생후 몇개월부터 보통 걷나요?
안녕하세요,보통 돌전후로 많이 걷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체중이나 대근육 발달 정도에 따라 걷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대근육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자주 아이를 잡고 세워주시고 발등에 올려 걷게 하시거나 쏘서 같은 것에 태워 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19일 작성 됨
Q.
5살 남자아이 효과적인 한글공부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아이가 관심을 가질 때 교육하시는 것이 가장 효과가 큰 방법이지만 관심이 없다면 좋아하는 주제로 한글을 노출시켜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좋아한다면 자동차 이름을 써주고 함께 읽어본다든지, 아이가 좋아하는 것으로 흥미를 유발해보시기 바랍니다.하지만 글자에 관심이 없다면 굳이 무리하지 마시고 1년간 더 그림책을 열심히 읽혀주시고 그 후에 교육하셔도 늦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19일 작성 됨
Q.
영어유치원이 교육효과가 큰건가요?
안녕하세요,영어유치원은 영어에 있어서 만큼은 확실히 인풋이 보장되기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이의 성향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가 크고 모국어인 한국어와 한글을 배워야할 시기에 영어유치원을 다님으로해서 한글에 따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한다는 점에서 고민해보실 필요가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19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공부를 강요하면 역효과가 날 수도 있겠죠?
안녕하세요,말씀하신 것처럼 수학도 문해력이 필요하기에 초등 저학년까지는 독서 습관 들이고 여러가지 경험을 통해 배경지식을 쌓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수학의 경우 초등 저학년까지는 교과과정을 잘 따라가는지만 확인하시면 되고 3학년에 분수가 나올 때부터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수학동화도 많이 읽히시고 여러가지 교구나 보드게임을 통해 바탕을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5월 19일 작성 됨
Q.
4세 아이가 실내활동과 실외활동 중 무엇을 하는 것이 더 도움될까요?
안녕하세요,둘 중에 선택해야한다면 자연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연물을 접하는 것이 신체 건강 및 정신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기 때문인데요 요즘엔 자연물에 노출되는 시간을 '그린타임'이라하고 부르며 미디어에 노출되는 시간을 뜻하는 '스크린 타임'에 대비하여 점점 강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5월 19일 작성 됨
Q.
왜 아이들은 하지말라고하면 더 할까요?
안녕하세요,4세가 되면 자아가 생기고 신체적 통제가 자유로워지면서 고집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부모가 하지 말라고해도 직접 해보면서 자신의 한계를 시험해보고싶어 하는데요, 이 때 지나치게 통제하게 되면 자신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하거나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이상 아이가 직접 경험해보게 해주시기 바랍니다.그리고 하지 말라는 부정적인 명령어는 아이들이 잘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라'라고 명령하면 바로 코끼리를 떠올릴 수 밖에 없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대안이 될 수 있는 행동을 긍정어로 얘기해주시기 바랍니다. '밥먹어야 되니 장난감 그만 갖고 놀자.'라고 얘기하기보다 '밥 빨리 먹고 장난감 더 많이 갖고놀까?'라고 얘기해 주세요.감사합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