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대부터 중세시기 이집트는 어떤 시기를 거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고대의 이집트 나일강과 사막의 오아시스에는 기원전 전 10천년 전 암각조물의 증거가 있습니다.이를 토대로 고대 이집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수렵자와 어부들의 문화는 정곡문화로 바뀌게되었고, 기원전 8000년경에는 기후 변화나 과도한 방목으로 이집트의 목축지가 황폐해지기 시작하여 사하라 사막을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초기 부족이 나일강으로 이주하여 안정된 농업경제와 더욱 집중된 지역을 발전시켰습니다. 기원전 6000년경, 신석기 시대 이집트는 나일강에서 시작했습니다. 신석기시대 이집트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몇 개의 선사문화가 독립적으로 발전했습니다. 바타리아 문화와 그 뒤를 잇는 나카다 시리즈는 이집트 왕조의 전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기원전 3150년경 메네스 왕이 세웠습니다. 통일 왕국 이후 3000년 이상 이집트를 통치합니다. 이집트 문화는 긴 기간동안 왕성하게 발전하여 종교, 예술, 언어와 풍속 방면에서 모두 독특한 이집트 양식을 발전시켜옵니다. 이집트 통일의 앞선 두 통치 왕조는 구왕국 시대(기원전 2700년~기원전 2200년)에 많은 피라미드를 건설하였는데, 그중에서도 유서의 제3왕조 피라미드를 건축한것으로 유명합니다. 또한 피라미드 중에서는 제4왕조 기사의 피라미드도 아주 유명합니다. 중세: 제12왕조 (기원전 2055-1786년)) 제11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멘토호테프 4세가 끝나게 됩니다.이후 왕위는 그의 신하 또는 수석대신에게 넘겨졌고, 그는 제12왕조의 창시자인 아미네메트 1세의 왕이 되었습니다. 멤피스 남부 에테토이에 새 수도가 건설됐는데 티비스는 여전히 위대한 종교의 중심지입니다. 중세 때 이집트가 다시 번성했습니다. 12대 왕들은 아미네메트 1세 때부터 상속인들을 공동 섭정함으로써 가문의 원활한 승계를 확보했습니다. 중왕국 이집트는 침략적 외교정책을 펴면서 누비아를 식민화하고 제1중간기에 이집트에 침투한 베두인을 물리쳤습니다.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과도 외교관계와 무역관계를 맺고 군사요충지와 광산 채석장 건설 등의 사업을 진행했습니다.옛 왕국의 전통 피라미드 건설이 재개됐습니다. 중왕국은 아멘셰트 3세(기원전 1842-1797년)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습니다.아멘셰트 4세(기원전 1798~1790년)가 쇠락하기 시작했고, 그의 여동생이자 섭정왕인 소베크네펠루(기원전 1789~1786년)는 이집트 최초의 여성 통치자이자 마지막 통치자로 확인됐습니다.
Q. 세계 다른나라들은 한글을 자국의 언어로 사용 안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한국어가 쉬운게 아니고 한글이 쉬운 겁니다.한국어는 언어이고, 한글은 글자 입니다. 세종대왕님이 말한 "아침먹기 전이면 깨우친다"는 말은, 한국어가 아닌 훈민정음, 즉 문자를 말하는 겁니다.또한 전세계 언어를 한국어로 통합하지 않는 이유는 당연합니다. 그렇게 할 필요가 전혀 없으니까요.언어라는 건 그 사회가 생기면서 사람들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발달합니다. 즉, 사회가 다르면 문화도 다르고, 문화가 다르면 생활방법도 다르고, 생활이 다르면 당연히 언어도 다릅니다.즉, 각 국가의 서로 다른 문화에 따라 발전해 온 것이 언어인데, 그것을 통합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