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이동광 전문가
카이로스 아카데미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극 속 전쟁에서 성 점령을 꼭 하고 진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요충지에 위치한 성은 바로 보급로의 핵심 지역입니다. 성을 쌓은 곳은 그만큼 교통의 요지라는 것이고, 이런 교통의 요지를 무시하고 지나가면 보급이 어려워집니다.성 안에서 멀쩡한 병사들은 적군의 보급 경로를 계속 공격하여 보급을 끊으려고 노력하겠죠. 그렇게 보급로가 위협을 받고, 보급품이 모자라는 상황에서는 제대로 싸울 수가 없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 방언이 우리나라 표준어와 너무 다른것은 어떤 이유 일까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제주도 사투리가 다른 지역 사투리보다 알아들을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리적 요인: 제주도는 한반도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외부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인 언어적 특성이 형성되었습니다. 제주도 주민들은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적어서 말 속에서 외래어나 다른 사투리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인 어휘와 발음을 유지했습니다.​2. 역사적 인과관계: 제주도는 옛날부터 일본과 중국과의 교류가 많아왔으며, 이로 인해 외래 단어나 문화적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따라서 제주도 사투리에는 일본어나 중국어와 겹치는 단어나 발음이 있어 다른 지역 사투리에 비해 낯선 어휘나 음운이 존재합니다.​3. 문화와 사회적 요인: 제주도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다른 지역과 차이가 있습니다. 제주도는 고립된 섬이기 때문에 자체 방언 및 문화가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다른 지역과의 언어적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로 인해 책에서나 언론에서 등장하는 표준 한국어보다는 제주도 사투리가 더욱 일상적인 대화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따라서, 제주도 사투리가 다른 지역 사투리보다 알아듣기 어려운 이유는 지리적, 역사적, 그리고 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꼰대 라는 단어는 한국말인가요? 외국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꼰대의 어원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요. 첫째는 ​영남 사투리인 '꼰데기'​에서 나왔습니다. 번데기처럼 주름이 자글자글한 늙은이라는 뜻에서 꼰데기라고 부르다가 꼰데기, 꼰데, '꼰대'로 되었다는 주장입니다.​두 번째는 프랑스어로 백작을 지칭하는 말 '콩테'를 일제 강점기 친일파들이 잘난 척하며 자신을 지칭하는 말로 일본어 발음 '콘테'라고 부르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청나라와 티벳은 어떤 관계였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18세기에 청의 건륭제는 적극적으로 대외 원정에 나서 청의 영토를 확대했습니다. 1717년 몽골인 중가르족이 티베트를 점령하고 약탈하게 되는데, 티베트인들은 건륭제에 도움을 요청했고 건륭제는 중가르족을 정벌하는 동시에 티베트까지 병합을 해버렸습니다. 이미 몽골인들에게 짓밟혀 청에 저항할 힘이 없었던 티베인들은 청에 복속될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이후 티베트는 중국에서 독립하지 못하고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치권에서 자주 회자가 되는 용어에 책사라는 말이 있더군요. 책사란 무슨뜻이고 어떤사람을 이야기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책사는 오늘날 전략가,일급참모로 해석되는데,현재의 직업으로는 컨설턴트(consultant)라고 할 수 있습니다.책사의 임무는 정변이나 경쟁에서 권모술수를 다하여 상대를 굴복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성계를 도운 정도전, 이방원의 책사 하륜, 수양대군의 곁에 있었던 한명회를 예로 들수 있습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