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국지 연의소설은 청나라와 이후 일본작가가 어떻게 각색하고 편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일본이 삼국지를 각색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고전문학에 머물지 않고 그 수용과정에서 충의(忠義)를 바탕으로 하는 일본문화로 재생산되었습니다.이후 일본에서는 일본화 된 ‘삼국지 문화’가 이념화된 ‘충의’와 ‘가부장적 국가이념’이 일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이것이 삼국지 콘텐츠가 문화산업으로 성공하여 정착하게 된 배경의 하나이며 가부키, 인형극, 만화, 애니메이션,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산업'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Q. 625전쟁에서 미군과 북한군어 첫 교전이 일어난 곳은 어디였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미군이 유엔군의 이름으로 참전한 첫 번째 전투는 오산 전투 입니다. 일본에 주둔하던 미 극동군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미 24사단에서 선발대를 차출해 병력을 파견했고, 찰스 B, 스미스 중령이 이끄는 미군은 1950년 7월 1일 부산에 도착해 경부국도를 따라 북상해 북한군과 첫 전투를 치루게 됩니다.이 전투에서 스미스부대는 181여명이 죽거나 실종되는 엄청난 손실을 입었고, 맥아더 장군은 죽미령 전투 결과를 보고 받고 비로소 북한군의 전력을 가늠하게 되었습니다. 그후 국군과 유엔군은 평택·천안 전투에서 패하고 낙동강에서 최후 진지를 구축하게 됩니다.
Q. 친일인명사전은 언제 만들어져서 공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친일인명사전은 민족문제연구소와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에서 편찬했습니다. 이 사전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한반도 침략을 지지ㆍ찬양하고, 일제 식민통치에 협력하여 한국의 독립을 방해하는 등 친일행위를 한 한국인의 목록을 정리ㆍ분류 정리하여 2009년 11월 8일 출간하였습니다.총 3권, 3,000여 쪽에 달하는 친일인명사전은 을사조약을 전후하여 1945년 8월 15일 해방될 때까지 일제식민통치와 전쟁에 협력한 4,389명의 주요 친일행각과 광복 이후의 행적 등을 담있습니다.
Q. 인도의 신분제도인 카스트 제도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현대 인도에서 카스트 제도는 법적으로는 사라졌지만, 아직 관습적으로 인도 사회에 뿌리내려있습니다.카스트 제도에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세 계급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인구의 약 20%라고 합니다. 전체 인구의 56%는 수드라 계급에 속하고 나머지 24%는 불가촉천민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인도 사람들은 같은 카스트가 아니면 결혼은 물론 밥도 같이 먹지 않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불가촉천민은 그 존재 자체가 너무 천해서 만지는 것조차 금지됩니다. 결국 인도의 대다수 사람들은 카스트 제도 때문에 고통을 당할 수밖에 없는 처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