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이동광 전문가
카이로스 아카데미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역사상 일본을 침략 했던 경우는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있습니다. 바로 대마도 정벌입니다.세종대왕의 대마도 정벌은 1419년 6월 19일 이종무 장군과 그부하들이 대마도를 정벌 한 것을 말합니다. 1419년 5월 왜선 39척이 비인현에 침입하여 병선을 불태우고 약탈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조정은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를 공략하기로 결정하고 이종무장군을 총지휘관으로 임명하여 정벌케 합니다. 이종무 부대는 대마도에 진입하여 129척의 선박을 노획하고 쓸만한 20여척을 남기고 다 불태우고 적군 114명의 머리를 배었습니다.그러자 왜구측에서 평화협정을 제의하여 그해 7월 3일 거제도로 철수합니다. 대마도 정벌후 대규모의 왜구는 소멸됐고, 이를 통해 조선은 평화시대의 기틀을 마렵합니다. 또한 수십년간 계속되던 조선의 근심거리를 제거하고 대일외교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대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121사태로 인한 대한민국 사회에 변화는 무엇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이 사건의 결과로 군사력 강화를 위해 향토예비군, 육군3사관학교, 전투경찰대, 684부대가 창설되었습니다. 또한,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는 교련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대통령 경호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인왕산과 북악산, 청와대 앞길까지 일반인의 통행이 금지되어 이동의 자유가 상당히 제약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미국의 대통령이엏던 닉슨 독트린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닉슨 독트린은 1969년 미국이 발표한 고립주의 외교정책 입니다.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1. 미국은 앞으로 베트남전쟁과 같은 군사적 개입을 피한다.2. 미국은 아시아 제국과의 조약상 약속을 지키지만, 강대국의 핵에 의한 위협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란이나 침략에 대하여 아시아 각국이 스스로 협력하여 그에 대처하여야 할 것이다.3. 미국은 ‘태평양 국가’로서 그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지만 직접적, 군사적 또는 정치적인 과잉개입은 하지 않으며 스스로의 의사를 가진 아시아 각국의 자주적 행동을 측면 지원한다.4. 아시아의 각국에 대한 원조는 경제중심으로 바꾸며 여러 나라 상호 원조 방식을 강화하여 미국의 과중한 부담을 피한다.5. 아시아의 각국이 5∼10년의 장래에는 상호안전보장을 위한 군사기구를 만들기를 기대한다.요약하자면, 닉슨 독트린은 아시아 방위 책임을 일차적으로 아시아국가들 자체가 지게 하고, 미국은 핵우산을 제공함으로써 대소봉쇄전략을 추구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미국의 방위비 부담을 줄이고 경제적 이익을 챙기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Commonwealth of Nations라는 국제기구는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Commonwealth of Nations 즉 영 연방은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정치적 국가 연합 중 하나로써, 영국 본국과 함께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 드등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국가들 위주로 결성된 국제기구입니다.현재 회원국은 56개국으로 유럽 3개국(영국 포함), 아프리카 19개국, 아시아 8개국, 미주/카리브 13개국 남태평양 도서국 11개국으로 구성되어 있고 25억 명의 인구가 영연방에 속해 있습니다.이 중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규정하고 있는 영국을 포함한 16개 국가를 영연방 왕국으로 칭하고, 33개국은 공화국 5개국은 독자적인 국왕을 가지고 있습니다.영 연방은 1868년 캐나다가 자치령으로 승격된 이래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 자치령이 되어 영국 국왕에 충성한다는 공동의 취지하에 영연방의 윤곽이 잡히면서 그 시초가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원은 일제시대 창경궁이라고 하던데 칭경궁은 이전에 어떤곳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창경궁은 세종에게 양위해 상왕이 된 태종이 거처하기 위해 지어진 궁궐입니다.처음엔 수강궁이란 이름으로 지어졌으며 태종 사후에 사용되지 않다가 성종 때 자성대비, 인수대비 등 왕실윗어른들을 모시기 위해 대대적으로 확장공사를 했으며 이때 이름을 창경궁으로 고쳤다고 합니다.​이후 임진왜란때 불탔다가 광해군 때 복원하였지만 이괄의 난 때 내전이 불타는 등 화재가 일어나기도 했으며 이곳에서 장희빈과 사도세자가 죽었다고 전해집니다.
3163173183193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