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장례식때 보통은 3일장을 치루는데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보편적으로 3일장을 치루는 가장 큰 이유는 유교적인 관습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여집니다. 유교의 경전 중 맹자에는 "사람이 죽으면 3일동안 곡하고 장례를 치루어야 한다"라고 나와 있는데요, 이 3일의 기간을 애도의 기간으로 보았기 때문에 옛부터 장례를 3일장으로 치루었습니다.유교적인 의미 외에는 토속적인 이유로 죽은 영혼이 저승까지 가는 과도기로 보기도 하였으나, 가장 큰 이유는 유교적인 이유입니다.5일장이나 7일장을 하는 이유는 조문객을 위해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5일장의 경우 지방에 친인척/조문객들이 있을 시 조문 기간을 더 늘리기 위하여 5일장을 치루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국장을 7일장으로 하는 이유도 비슷한 이유이며, 전국적으로 애도를 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7일장으로 치루고 있습니다.
Q. 과거 하회탈같은 탈을 썼던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탈을 쓰고 춤을 추며 연극을 하는 탈놀이는 기원을 따지자면 고대부터 이어져 온 문화입니다.고대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는 주로 주술적인 의미로 많이 사용되었는데요, 제사를 지내는 제사장이나 무당들이 귀신을 뜻하는 탈을 쓰면서 제사를 지내고 주술적인 춤을 주는 것이 그 기원이었습니다.말씀하신 하회탈은 조선시대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는데요, 고려시대부터 민간에서 마당놀이 처럼 탈놀이를 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고, 조선시대에 지역별로 민속 탈놀이가 퍼지게 되었습니다. 하회탈은 안동지역의 대표적인 탈로, 가장 잘 알려진 탈놀이 탈 중 하나입니다.고려~조선시대에 민간에 널리 퍼지게 된 이유는 지배층에 대한 풍자나 민간에 공감할만한 이야기를 공연으로 하면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탈을 쓰는 것은 더 우스꽝스럽게 표현한다거나 지배계층을 풍자할 때 얼굴을 안알리면서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이 쓰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공룡 화석의 발견이 대중 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안녕하세요. 공룡 화석이 본격적으로 발견된 시기는 19세기로, 주로 유럽에서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당시에 알고 있는 동물과는 다른 어떠한 존재라고만 생각하였고, 공룡이라는 개념이 구체적으로 있지는 않았습니다. 이후 영국의 해부학자인 리처드 오언에 의하여 공룡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대중 문화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20세기로, 공룡을 모티브로 한 최초의 영화인 잃어버린 세계가 개봉하였습니다. 이후에 잘 알려진 영화로는 킹콩, 고질라, 그리고 20세기 후반에 가장 잘 알려진 공룡 영화인 쥬라기 공원이 개봉하였습니다.공룡 화석은 상상력을 자극하는 대중 문화 소재로써, 특히 괴수에 대한 공포심과 궁금증을 토대로 한 영화/만화/소설 등이 유행하는 시초가 되었습니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상상력과 이러한 곳을 모험하는 컨텐츠는 대중 문화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Q. 삼국지에서 유독 유비를 덕장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현재의 유비가 덕장으로 많이 표현되는 이유 중 하나는,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의 주된 주인공이 유비로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정사를 보면 사실 조조가 당시 삼국의 패권을 가장 크게 쥐고 있었음에도 유비를 주된 주인공으로 표현한 이유는, 나관중이 한나라 왕실의 정통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도 있습니다.능력적인 면으로 보았을 때 조조보다 유비가 확실히 뒤쳐지기도 하였고, 당시 영토나 군사력으로 보아도 위나라가 압도적으로 잘 나갔기 때문에 유비는 인정이 많고 덕이 많은 것으로 많이 표현되었습니다. 이러한 유비를 따르는 사람들 중 최고의 장군인 관우, 장비, 조자룡과 같은 사람이 있고 중국에서 최고의 지략가로 알려진 제갈량도 유비를 본받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덕이 많아 사람이 잘 따른다. 로 소설에서 많이 표현하였습니다. 이는 이전 초한지의 주인공 중 한명이었던 유방의 장점과도 일치하며, 한나라의 초대 황제와 같은 모습으로 유비를 표현함으로써 주인공의 서사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실제 정사에서 보았을 때는 유비가 덕이 많다는 말은 크게 없으며, 귀가 크고 사람이 잘 따른다는 정도의 표현만 있습니다. 옛말에 귀가 큰 사람은 덕이 많다는 말이 있습니다.
Q. 노르망디 공국의 군사력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었나요?
안녕하세요.노르망디 공국은 바이킹 계열의 정착민들인 노르드인의 후손이 기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체격조건 자체가 많이 좋았고, 중세 유럽의 봉건제의 특징인 중장기병이 군사력의 중심이었습니다.노르망디 공이었던 윌리엄과 잉글랜드 왕인 해럴드 2세의 싸움이었던 헤이스팅스 전투를 보면, 중장기병의 역할이 매주 중요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강력한 파괴력을 가진 기병 중심의 전술을 활용하였고, 이는 곧 유럽 전역의 군사 전술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또한 바이킹의 후손 답게 해상 침투력도 뛰어났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잉글랜드 점령 시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노르망디 공국은 그 전투력을 바탕으로 잉글랜드를 정복하였고, 노르망디 공인 윌리엄은 잉글랜드의 정복왕 윌리엄으로 이름을 떨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