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역사학을 공부한 역사학도 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학을 공부한 역사학도 입니다.

이동권 전문가
역사학과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 그리스 민주정의 직접 투표 제도가 현대 의회 민주주의와 다른 점은?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현대 민주주의와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직접 민주주의와 간접 민주주의로 볼 수 있습니다.고대 그리스는 모든 사람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었고, 모두 한곳에 모여 투표를 통해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습니다. 내가 직접 법을 만들고, 법을 시행하는 직접 민주주의 형태였습니다.하지만 현재의 민주주의는 나의 정치적인 생각을 대변하는 정당을 뽑고, 그 정당의 국회의원을 뽑는 간접 민주주의 형태입니다. 내가 선출한 국회의원이 법을 만들고 정책을 시행하죠. 많은 대한민국 국민이 직접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수 없으니 지금과 같은 형태로 정치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그리고 투표권도 고대 그리스는 일부 선택받은 성인 남성 시민만 있었다면, 현대는 모든 국민이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고 있었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예수님은 언제 생겨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예수님은 실제로 존재하던 인물이 맞습니다. 그에 대한 기록도 확실히 존재하구요.종교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예수님의 행적이나 기적과 같은 내용들은 제자들에 의하여 씌여진 것들이 많습니다. (요한복음, 누가복음 등 이후에 예수님의 행적을 기록)종교 외적으로 보았을때는 기적과 관련된 내용들보다는 실제 예수님이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하였고, 사람들이 많이 따랐다는 내용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전한길.. 이분 공무원 역사 강의에서도 이랬었나요?
안녕하세요.교육업계에서 일하고 있어서 이전에 전한길 강사의 강의들을 모니터링 자주 하였습니다.이전에 강의할때는 정치색은 전혀 보이지 않았고, 실제 강의에서 정치에 관련된 이야기는 하지 않았습니다. 1타 강사로 이름을 날렸던 것 자체도 공부에 관련된 이야기 + 수험생 입장에서 시험 출제 의원에 대한 쓴소리 같이 학생을 위한 발언들을 많이 하여 더 유명해졌었습니다. 그리고 필기노트 책이 좋았구요.지금 유튜브에서 보는 모습은 그때랑 비교하면 상당히 이질적이기도 합니다. 다만 전한길 강사가 주로 활동했던 공무원 한국사가 이제 점점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에, 미리 알아채고 정치로 갈아탄 건 아닌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긴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폭군의 세프라는 드라마를 보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폭군이 모두 군으로 불린 것은 아닙니다. 정확하게 이야기 하자면, 왕의 자리에서 폐위된 왕들을 당시에 격하하여 "~군"으로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조선시대의 왕은 왕으로 즉위하면서 명칭이 붙는게 아닌, 죽고 나서 그 명칭을 정합니다. 흔히 알고 있는 태조/세종/세조 같은 것들은 모두 죽고 나서 붙는 "묘호"입니다. 즉 왕으로 끝까지 즉위를 하여야 묘호를 추서하고, 그 이름으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됩니다.연산군/광해군과 같이 00군으로 붙는 건, 중간에 왕에서 폐위됨으로써 묘호가 붙지 않고 격하되었기 때문에 군으로써 기록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국 헨리 8세 초상화에서 악마의 형상이 보인다는 소식은 어떤 근거인가?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초상화는 서머셋주 미버턴의 대형 벽화 초상화를 이야기 하시는 것 같습니다. 해당 초상화는 뒤집어서 보았을 때 악마의 얼굴처럼 보이고, 뿔이나 염소눈 같이 이중 이미지가 발견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작가가 어떤 의도로 그렇게 그렸는지는 모르나, 무엇인가 의도를 가지고 벽화를 그린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왜곡 착시 기법으로, 당시 미술품에 그냥 장난 또는 정치적인 메세지로 넣었을 가능성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확실히 알려진 것은 없지만, 작가가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서 넣어둔 것은 확실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왕족의 칭호중 -군 과 -대군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조선 왕실에서 "대군"은 정실부인인 왕비가 낳은 왕자입니다. 즉 적통성을 가지고 왕위 계승권에서 가장 위에 있을때 "대군"의 칭호가 붙습니다. "군"으로 불린 왕자들은 후궁의 자식들이며, 왕위 계승권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둘 다 후궁의 자식들이었어서 왕자일때도 군으로 불렸고, 왕에서 폐위가 되어 그 칭호가 격하되어 연산군/광해군으로 실록에 기록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서얼'의 '얼'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서얼에서 각 뜻을 풀이해보자면, "서"는 [여러 서]자로 여럿, 많다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자가 정실부인의 아들이면, 그외를 제외한 다른 여러 자식들을 서자로 불러 첩에게서 태어난 사람을 서자로 불렀습니다.문의주신 "얼"은 서자 얼자로, 글자 자체에 서자라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정통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나쁘게 보면 잡초/곁가지/재앙이라는 부정적인 뜻도 같이 내포하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한자이긴 하지만, 서얼에서 쓰일때는 정실이 아닌 첩이다 라는 뜻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티베트 제국은 어떤 배경에서 형성되었으며, 초기 건국자는 누구였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티베트를 통일하여 티베트 제국을 건국한 사람은 송첸캄포 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확정으로 부르는 이름 없이 송첸캄포, 송첸감포로 부르긴 합니다.)당시 티베트(토번)은 분열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티베트를 통일하고 라싸를 수도로 하여 티베트 제국을 건국합니다. 티베트 최초의 중앙집권 국가였는데요, 이후 당나라 공주와 혼인을 하며 위상을 높입니다. 당나라 공주와 혼인 후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티베트 불교의 기틀을 마련하기도 하였습니다.티베트 제국은 실크로드를 장악하기 위하여 제국을 확장하기도 하였고, 송첸캄포 사후 이러한 확장 시도 끝에 당나라와 충돌하기도 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치인들은 당선실패하면 선거에 썼던돈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선거에 사용했던 모든 비용은 후보자와 정당이 부담하는게 원칙입니다. 다만 득표율에 따라서 일부 보전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당선자는 모두 돌려받고, 득표율이 15% 이상이라면 50% 보전, 10~15% 득표율이라면 10% 보전, 10% 미만의 득표율이라면 보전되지 않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정당의 경우 선거 금액보다 더 많은 돈을 후원으로 받고 있어, 후보자 개인의 빛이 되는 일은 무소속이나 작은 정당이 아니라면 거의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가 현대 정치 제도에 끼친 영향은?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고대 그리스, 특히 아테네의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의 원형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는 직접 민주주의로, 모든 시민들이 직접 입법과 정책결정, 재판에 참여합니다. 오늘날 민주주의와 같이 생각해보면 "시민이 참여하고, 정치적으로는 모두가 평등하다"는 개념이 오늘날의 민주주의까지 이어져 온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고대 그리스의 모든 시민은 법 앞에서 평등하고, 우리나라의 법치에서도 동일하게 법 앞에서는 모두가 똑같다는 이념을 가지고 있습니다.현대에는 그리스와 같이 모두가 다같이 참여하는 정치를 이룰 수는 없지만, 그 정신만큼은 그대로 이어져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