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오혜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전문가입니다.
오혜진 전문가
수성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9월 17일 작성 됨
Q.
유치원에서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강하게 주장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지도를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의 의견을 강하게 주장할 때는 경첨하며 감정을 먼저 이해해주세요. " 네 의견이 중요해, 그런데 다른 사람의 의견도 한번 들어보자." 라고 말하며 대화를 통해 타인의 시각을 이해하도록 유도하세요. 논리적이고 차분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주고, 상호 존중을 강조해서 지도해보세요.
유아교육
2024년 9월 16일 작성 됨
Q.
잔소리 듣는 것을 너무 싫어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에게 피드백을 줄 땐느 가능한 긍정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하세요. " 이 부붐능ㄹ 잘했어"라고 구체적으로 칭찬하며 개선할 점은 짧고 간경하게 전달하세요. "다음에는 이렇게 해보자."라고 제안하며 피드백 후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 칭찬을 통해 격려해보세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16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신감이 없는 모습을 보이니 속상하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가 자신감을 잃을 때는 개인의 강점을 강조하고 작은 성공을 칭찬하세요. "너는 이 부분을 잘했어."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노력과 발전을 인정해주세요. 비교보다는 스스로의 성장을 중심으로 지원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자존감을 높여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16일 작성 됨
Q.
유치원에서 아이가 과도하게 짜증을 낸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가 유치원에서 과도한 짜증을 조절하려면 감정을 인정하고 적절한 표현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왜 짜증이 났는지의 원인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짜증이 났을 때 이렇게 숨을 깊게 쉬어보자."라고 제안하고 감정 카드나 그림을 사용해 표현하게 하세요.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하며 감정 조절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해 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16일 작성 됨
Q.
집에서의 행동과 유치원에서의 행동을 다르게 하는 경우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에게 집과 유치원에서의 규칙을 명확히 구분하여 설명해 주세요. 규칙이 비슷한 점을 강조하고, 각각의 규칙이 왜 중요한지 설명해 주세요. 일관된 행동을 보이며 두 곳에서의 규칙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가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기 쉬워집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16일 작성 됨
Q.
아이가 문제를 혼자서 시도하는데 자주 실패할 때 어떻게 해주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가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자세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실패했을 때 긍정적인 피드백과 격려를 통해 지원을 해주세요. "잘 했어, 다음에는 이렇게 해보면 더 좋을꺼 같아."라고 말해주며 문제해결을 위한 단계나 힌트를 제공하세요. 실패를 학습의 기회로 보고 꾸준히 도전하도록 격려하세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15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주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정리를 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가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거나 정리를 하지 않을 때는 책임감을 키울 기회를 제공하세요. 정리할 시간을 주고, 각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며 정리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해주세요. "물건을 제자리에 두면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어" 라고 설명하고 정리한 후 칭찬하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15일 작성 됨
Q.
머리만 믿고 공부를 하지 않는 아이는 어떻게 공부를 시켜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머리가 좋을 경우 공부에서 다른 사람에 비해 매우 공부를 잘할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머리에 의존하고 노력을 게을리할 경우 공부를 잘하지 못할 가능성도 높다는 사실을 여러가지 사례로 아이에게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또 본인이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노력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경험을 갖게 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아이큐가 130이 넘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노력까지 겸할 경우 크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놀이
2024년 9월 15일 작성 됨
Q.
추석날 집에서 할수있는 놀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추석날 가족끼리 즐길 수 있는 놀이로는 윷놀이, 투호 정도의 전통놀이를 추천드립니다. 윷놀이와 투호놀이는 규칙이 많이 어렵지 않고, 가족 모두 즐겁게 즐길 수 있는 놀이입니다.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가족들이여도 세대를 넘나들면서 할 수 있는 놀이이니 가족들이 모였을 때 다같이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15일 작성 됨
Q.
할리갈리 게임을 딸이 우기면서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딸이 게임을 하면서 우기고 짜증을 낼 때 게임의 규칙과 방법에 대해서 다시 한번 설명을 해주고, 규칙을 지켜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규칙을 어기고 마음대로 하게 된다면 아무도 아이와 게임을 하는 것을 원치 않게 된다는 사실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일정 나이 이상이 되면 자연스럽게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키려고 노력합니다. 크게 걱정하실 일은 아닌것 같습니다.
466
467
468
469
4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