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대 중국의 천문학 지식이 국가 통치와 농업제도에 사용된 방법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 지식은 국가 통치와 농업에 활용된 실용적인 학문 부분입니다. 천문학은 황제의 권위와 천명 정당서을 입증하는 수단이었습니다. 하늘의 변화는 국가의 길흉화복과 연결되어 이상 현상은 왕조의 변화나 정권 교체, 정책 변동의 신호로 받아들어졌습니다.그리고 정확한 역법은 계절 변화, 강우 건기 예측, 씨뿌리는 시기 추수 등 모든 농업의 근간의 되었습니다. 천문학적 관측으로 윤달, 절기를 정해 농번기와 농한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습니다.
Q. 인류 역사상 저출산 관련해서 문의가 드립니다
인류 역사상 결혼을 기피하고 출산율이 극도로 낮아지는 현상은 현재를 제외하고 전례없이 일로 평가됩니다. 과거 고대 로마 후기,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기와 그 후에는 미혼과 무자녀가 증가해 독신세를 부과하기까지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프랑스 등 일부 유럽의 국가에서는 1920~30년대 경제 위기와 전쟁 후 출산율 급락, 혼인 감소가 일시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혁명기의 일부 서유럽 대도시에서도 도시화·취업탓에 출산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현대처럼 집단적 ‘비혼’과 초저출산(합계출산율 1.0 이하)은 출현하지 않았습니다.
Q. 옛날에 어르신들은 방 안에서도 담배를 피웠는데
옛날에는 방안, 사무실 내에서도 흡연을 하였습니다. 조선 시대와 근대 초까지 남녀노소, 신분을 가리지 않고 실내 등 어디서나 담배를 피웠습니다. 어린아이들도 담배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었으며, 여성 흡연도 서양과 달리 금기시되지 않아 대중적으로 보편적인 기호품이었습니다.하지만 1990년 들어 과학적으로 담배의 유해성이 널리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변곡점을 맞이합니다. 결국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에 의해 법적으로 공공장소에서 금연을 하게되면서 제도적으로 실내 흡연이 금지됩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정부의 금연 정책 및 건강담론 확산으로 실내흡연은 점차 사라졌고, 거리 흡연도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