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후한 시기의 황건적의 난은 무엇 때문에 발생하였나요
황건적의 난은 184년 일어난 농민 반란입니다. 황건적의 난이 일어난 이유로는 후한 말기 황제 영제와 환관 세력의 전횡, 매관매직, 외척의 권력 남용 등으로 인해 중앙 정치가 극도로 부패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호족들이 토지를 늘려 농장을 소유한 반면, 농민은 몰락하여 궁핍한 생활을 하게 되면서 불만이 심화되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흉작과 자연 재해가 빈번했으며, 태평도을 기반하으로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습니다.
Q. 조선시대의 조용조 시스템이란 무엇인가요?
조용조 체제는 전세, 부역, 공납 체계를 체계를 말합니다. 조(租)는 토지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주로 곡물로 납부하였습니다. 처음 과전법 체제에서 1/10를 거두었다면, 세종 재위시 공법에 의해 20두~4두로, 그리고 인조 당시 영정법에 의해 4두로 정액세화되었습니다. 그리고 용(부역)은 성인 남성에게 부과된 노동력으로 공사나 운반 작업에 동원된 부역입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1결당 1역의 부역의 부역을 징발했으며, 1년에 6일 이상입니다. 또한 조(공납)은 가구 단위로 부과된 특산물 납부 형태입니다. 그러나 방납의 폐단에 따라 광해군 이후 대동법이 시행되어 토지 1결당 곡물 12두로 변경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