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Q.  러일 전쟁 후에 러시아가 지불해야 할 배상금은 없었나요?
러일전쟁은 1905년 9월 포츠머스 조약으로 종결됩니다.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30억엔에 해당하는 막대한 배상금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는 수긍하기 어려운 금액이며, 전쟁에서 패배하였지만 본토가 침략당한 것으 아니기에 전쟁을 지속할 여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협상에서 배상금을 강하게 거부하며 이를 협상 내용에서 제외하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차관에 의존하여 전쟁을 수행했기에 지속할 여력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배상금을 받지 못하더라도 조약체결을 통해 전쟁을 끝내야 했습니다. 또한 중재에 나선 미국은 일본과 러시아간 균형을 유지하려 했으며, 일본의 배상금 요구를 지지하지 않았습니다. 즉 루스벨트 대통령은 배상금 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협상을 타결하려 했습니다. 결국 러시아의 협상력, 미국의 중재, 일본의 경제적 한계가 복합되어 포츠머스 조약으로 배상금 대신 한국에 대한 지배권과 요동 반도 양도 등을 반영하여 종결되었습니다.
Q.  2차세계대전당시 문화재부대는 어떻게 활동했나요
2차 대전 중 문화재부대는 연합군이 조직한 특수부대입니다. 일이 점령지에서 대규모 문화재와 예술품을 약탈하였습니다. 연합군은 전쟁 중 문화 유산의 파괴를 막고 나치가 약탈한 예술품을 되찾기 위해 1943년 조직했습니다. 이들은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약탈된 문화재를 회수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Q.  근세시대 러시아에 있던 호박방이 무엇이고 무슨 역할을 하나요
'호박방'은 6톤의 호박과 금으로 장식되었으며, 벽과 천장은 호박 모자이크와 도금된 나무로 꾸며졌습니다. 호박방은 지구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방으로 불릴만큼 매우 화려한 방입니다. 원래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1세가 왕비를 위해 제작을 시작했습니다. 그의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가 이를 중단하고 1716년년 러시아 표트르 대제에게 선물로 보냈습니다. 표트르 대제는 서구 문화 도입 정책의 일환으로 호박방을 받아들였으며, 이후 예카테리나 궁전으로 옮겨 화려하게 재조립하여 황실의 위엄을 과시하는 공간으로 사용했습니다. 2차 대전 중 1941년 독일군은 궁전을 점령하고 호박방을 분해하여 독일 쾨니히스베르크(칼리니그라드)로 옮겨왔는데 전쟁으로 연합군의 폭격으로 자취가 감춰졌습니다. 소련은 1979년 남아 있는 사진과 자료를 바탕으로 복원을 시작하여 2003년 완료했다고 합니다.
Q.  유목민족들의 고분은 왜 화려하고 으리으리 하나요
대규모 고분을 만드는 이유는 지도자의 권력과 위엄을 과시를 반영하는 상징입니다. 예를 들어 스키타이족과 흉노족의 고분은 금속 장식품과 무기, 말 등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는 그들의 생전의 부와 군사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은 죽어서도 사후 삶을 이어간다고 믿어 생전에 사용했던 물건을 부장합니다. 이동 생활을 하는 유목민들의 특성상 고분은 그들의 영토와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념물이기도 합니다.
Q.  과거 전쟁당시 오히려 농민이나 시민들의 약탈이 더 잔혹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과거 전쟁 당시 농민이나 시민들의 약탈이 심했던 이유는 전쟁의 혼란으로 경제와 사회가 붕괴되면서 식량과 자원이 부족해지자 생존을 위해 약탈이 발생한 것입니다. 전쟁으로 식량 공급이 끊어지고 절망적 상황에 처한 사람들이 약탈을 통해 생존하려 한 것입니다. 또한 전쟁 중 지배층의 착취와 억압에 대한 분노가 사회적 복수로 표출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독일의 농민 전쟁 당시 농민들은 봉건 영주와 교회의 재산을 약탈하며 계급 갈등을 폭발했습니다.
5115125135145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