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신시대에 경강상인은 어떤 사람들을 말하나요?
조선 후기 경강상인은 한강 일대에서 활약한 선상을 말합니다. 이들은 주로 세곡과 지대를 운송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올렸습니다. 나아가 조선술을 통해 선박을 건조하였습니다. 또한 세곡과 지대 외에도 소금, 목재, 얼음 등 다양한 상품을 유통하면서 한강과 서해안의 포구를 중심으로 상업 유통망을 장악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정부 및 세도가문과 유착, 부정행위(화수, 투식, 고패 등) 저질러 정부의 감시와 처벌을 받기도 했습니다. 또한 개항과 경제 구조 변화로 쇠퇴하게 되었습니다.
Q. 영조의 탕평책과 정조의 탕평책에서 나타난 차이점은 무엇이 있었나요?
영조와 정조는 탕평책을 통해 붕당 정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 하였습니다. 영조는 완론 탕평으로 극단적인 대립을 완화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붕당의 권력을 약화시켜 왕권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러나 외척을 중용하고, 탕평파를 육성하기도 했습니다.정조의 탕평책은 준론 탕평을 시행하여 각 붕당의 강경파를 등용하는 독특한 인사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도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규장각을 설치하고, 초계문신제들 통해 측근을 육성하였으며, 장용영과 수원화성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면서 붕당을 억눌렀습니다.
Q. 조선시대에 이조정랑의 자리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조선시대 이조전랑은 정랑(정5품)과 좌랑(정6품)의 비교적 낮은 관직이었습니다. 이조정랑은 후임자 추천권인 '자대권',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관리 임명 권한인 '통청권', 재야 인사를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인 '낭천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금으로 보면 청와대 인사 비서관과 비슷한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조선 정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정치적 영향력이 컸습니다. 특히 붕당의 입장에서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수단이었기 때문에 요직으로 여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