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생물활용 사례와 원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미생물은 환경 정화와 폐기물 처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천 정화의 경우, 특정 박테리아나 조류가 물 속의 유기물,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흡수합니다. 이 과정을 생물학적 처리라고 하며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영양분으로 사용하여 생장하면서 수질을 개선합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 가스와 퇴비를 생성하는 혐기성 소화 과정이 주로 사용됩니다.미생물은 또 토양 오염 정화나 산업 폐수 처리, 바이오 연료 생산 등에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미생물은 석유 유출로 오염된 토양에서 탄화수소를 분해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미생물은 중금속을 흡수하거나 덜 유해한 형태로 변환하는 특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미생물의 활용은 환경 친화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자연의 정화 능력을 강화하고 가속화하는 원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Q. 모기는 알에서 부화해서 성충까지 그 기간은 어느정도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모기의 생활사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알에서 성충까지 성장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종류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집모기의 경우 이 과정은 약 7-10일 정도입니다.그렇지만 이는 이상적인 조건에서의 경우이고 실제로는 온도, 습도, 먹이 가용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운 날씨와 충분한 먹이가 있으면 더 빨리 성장할 수도 있고, 반대로 추운 날씨나 먹이가 부족하면 더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어떤 특정 종은 이 과정이 몇 주까지 걸리기도 합니다.
Q.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국제 협력 사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국제 협력과 프로그램 사례는 찾아보면 많이 있습니다.먼저 1982년에 체결된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이 있는데 이 협약은 해양 자원의 이용과 보존에 관한 국제 법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1992년에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CBD)은 해양을 포함한 온 지구의 생물다양성 보존을 목표로 하는 협약입니다. 그 외에도 연안 습지와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람사르 협약, 고래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국제 협약인 국제포경규제협약(ICRW) 등이 있습니다.국제적으로 진행중인 해양 생태계 보호 프로그램으로는 지역 협력 프로그램인 유엔환경계획 내의 지역해 프로그램이 있고, 세계자연기금의 해양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세계자연기금 해양 프로그램은 NGO 차원에서 펼쳐지는 프로그램으로 해양 보호 구역의 설정, 지속가능한 어업 촉진 등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Q. 신체에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은 몇종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신체에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로 칼슘, 칼륨, 인, 황, 나트륨, 염소,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요오드, 셀레늄, 몰리브덴, 크롬, 코발트 총 16종이 있습니다.이러한 무기질은 우리 몸에서 뼈와 치아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체액 균형 유지, 효소 활성화, 호르몬 생성, 면역 기능 보조 등의 기능들을 수행합니다.필수 무기질은 나이나 성별, 건강 상태에 따라 섭취량을 달리해야하며 대부분은 균형 잡힌 식단으로 섭취가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제한된 상황에서는 보충제를 통한 보충이 필요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