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8살 여자 아이 사춘기 대처하는 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8살에는 사춘기가 오지는 않습니다 집 밖에도 나가지 않고 아빠랑 사이가 좋지 않다고 하니 아이가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태 인것 같아요 가정의 환경이 좋지 않으니 그냥 다 하기 싫은 마음이 들수도 있어요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합니다 아이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는지 어떤 마음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야 합니다 아이가 불편해 하고 불안한 점을 해결 해 주세요 그럼 아이도 예전에 모습으로 돌아 올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학교에서의 일을 말하지 않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먼저 이야기 하는 것보다 먼저 물어 봐야 대답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혼이 많이 나고 가정의 분위기가 딱딱한 경우라면 아이가 먼저 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말해 봤자 혼나거나 핀잔을 듣는 경우가 많아 말하지 않아요 아이가 먼저 말하게 하고 싶으면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아이의 말해 대해 공감하거나 이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도 자신의 말을 잘 들어 주고 이해 해준다면 부모님에 대한 신뢰도 생겨 아이가 먼저 말하는 경우가 됩니다 아이가 먼저 말을 할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유아교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여자 아이들의 친구 관계는 늘 복잡한걸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의 친구 관계는 아이들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에 부모님이라고 하여 참견 하는 것은좋지 못한 행동 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해결하지 못해 부모님께 도움을 청한다면 도와 줄수는 있으나 아이 스스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걱정이 많아 보여 아이들 보다 글을 쓴 님이 더 걱정이 됩니다 아이들이 어느 정도 자랐다면 아이들 인생 보다 본인의 인생에 대해 생각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아이들이 말해 주지 않는 다면 아이들도 매우 성장한 단계라고 생각 됩니다 친구들과는 관계는 언제든 좋아 질수 있고 언제든 나빠질 수 있습니다지금 친구들이 평생을 가야 한다고 생각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의 친구 관계를 생각 해 보면 쉽게 답이 나올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린이집 놀이기구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이집에 필요 한 교구나 놀이 기구는 담임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사용 설명을 잘 해줍니다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안전 교육도 잘 하기 때문에 부모님이 특별히 알아야 할 것은 없습니다부모님이 아이들에게 교육 해야 할 정도로 위험한 교재가 있지 않기 때문에 걱정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다쳐서 올 경우 대처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이집에서 아이가 다치게 되면 담임 선생님이 전화를 해서 먼저 알려 주거나 합니다 작은 상처라면 하원 할 때 이런 이유로 다쳤다고 알려 줍니다 상처가 크다고 판단 되면 부모님께 연락하고 병원을 갑니다 물런 어린이집 보험으로 처리 해 줍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유아교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맞벌이 부모로서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이 미안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대부분의 아이들이 맞벌이 가정 입니다 요즘에는 한 명이 일을 해서 아이들을 키우기가 매우 어렵습니다.지금은 어려서 좀 낫지만 초등 학생이 되고 중학생이 되면 학원비가 상상을 초월 합니다 그래서 맞벌이가 아니면 아이들의 교육이 쉽지 않아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모든 아이는 아니지만 대부분 맞벌이 가정 입니다 그렇다고 아이와 24시간 있어도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습니다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엄마라면 많은 것을 아이에게 제공 할수 있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 합니다 아이들도 자기들 만에 사회생활을 하기 때문에 불행 하다고 생각 하지는 않아요 그래서 저녁에 짧게 라도 아이에게 최선을 다한다면 나름 괜찮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편식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대부분의 아이들은 편식을 하고 야채는 잘 먹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요 야채의 고유의 향이 있고 간이 잘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과자나 인스턴트 음식에 비해 맛이 떨어 질수 있어요 그래서 아이들은 간식을 좋아 하고 야채는 잘 먹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요 야채를 삶아 먹이는 것 보다 튀김을 하면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먹을 수 있어요 가정에서 음식이 간이 잘 되어 좀 짭짤하게 음식을 한다면 어린이집에 음식은 간이 매우 싱겁기 때문에 편식 할수 있는 경우도 있어요
유아교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낮잠을 거부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5살이 되면 체력적으로 좋은 아이들은 낮잠을 자지 않아도 활동을 잘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체력적으로 약하거나 12월생 들은 낮잠을 자지 않으면 활동이 어려운 경우도 있어요 어린 아이라면 낮에 놀고 싶어 하는 마음이 강하거나 늦게 까지 잠을 자고 늦게 등원 하는 경우에는 잠을 깬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낮잠을 자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어요 아이가 정해진 시간에 잠을 잘수 있도록 하며 아침에 정상적인 시간에 등원하게 되면 낮잠도 잘 잘 수 있게 됩니다
유아교육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중학생 자녀는 어느 정도 휴식 시간을 보장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마다 집중력이 다르기 때문에 공부를 시간의 양으로만 생각 하기엔 좀 무리가 있어요 집중을 해서 하루에 2시간만 해도 상당히 성적이 오를 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우선 아이가 공부에 대해 좋아하거나 자신이 있다면 알아서 공부하는 경우가 있어 살펴 보기만 하면 되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공부 하기를 싫어 하고 관심도 별로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하루에 1시간만이라도 집중 해서 공부 한다면 좋은 결과를 볼수 있을 것 같아요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규치적으로 정해 사용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 스스로 조절 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5년 3월 7일 작성 됨
Q.
새로운 것을 도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아이, 도전정신을 키우게 하려면?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새로운 것도 도전이 아이가 관심이 있고 호기심이 있는 것이 되면 좋겠으나 이런 것은 살피지 않고 요즘 유행하거나 부모님이 좋아라 하는 것을 아이에게 도전 하게 한다면 아이들은 힘들어 하고 도전 하기를 꺼려하는 이유가 될것 같아요 우선 도전 하기전 아이가 무엇을 잘하고 좋아 하는지 잘 알아야 하고 새로운 과제을 일방적으로 하라고 하기 보다 무엇을 좋아 하는지 하고 싶어 하는지 아이와 충분히 상담을 하고 결정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