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를 위한 약물치료는 어떤 것이 있나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종류에 따라 치료가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Methimazole, Propylthiouracil 등의 항갑상선제를 복용하게 됩니다. 이는 갑상선 호르몬 생성과 분비를 억제하여 항진증을 조절하게 되는데 대부분은 일 년 이상의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난생 처음받는 대장내시경 비수면으로 버틸 수 있을까요?
대장 내시경의 경우, 위 내시경 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통증이 더 발생하기 때문에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통증과 시간을 견뎌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개인에 따라 이를 견디는 정도가 다르며 대부분은 처음 비수면으로 한 경우, 다음부터는 수면 대장 내시경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장염인건가요? 응급실 다녀왔는데 ㅜㅜ
증상이 나아진 경우, 처방 받은 약은 종료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진경제의 경우, 복부 통증을 줄이고 장 운동을 저하 시키면서 설사를 멈추는 효과가 있어서 이후 변비가 생기기도 합니다. 약을 종료하고 물을 자주 드시는 것이 변비에 도움이 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대상포진 만50세가 안되도 맞아도 되나요?
그렇지는 않으며 50세 미만에도 맞아도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확률 적으로 50세 이상에서 대상 포진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50세 이상에 권고 되고 있지만 50세 미만에서도 대상 포진은 발생하기 때문에 예방 접종 을 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내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키에 비해 마르면 빈맥이 생길 수 있나요?
네 마르는 경우, 근육량이 부족하게 되어서 특히 하체에서 심장으로 올라가는 혈액을 올리는 근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갑자기 일어날 때 혈압이 감소 하면서 어지럼증이나 기립성 저혈압을 보이며 반발 증상으로 빈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6월 18일 작성 됨
Q.
우리몸에서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갑상선은 무엇을 말하며 어떤 기능을 담당하나요?
갑상선은 목 앞쪽 가장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서 목과 가슴이 연결되는 부위에 존재하게 됩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다른 호르몬들과 같이 체내 온도와 면역 기능 등 체내 장기가 원활하게 활동하고 이를 통해 면역을 유지하도록 도와주게 되는데 특히 체온 조절과 식욕, 체중 등에 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내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위 담적이라는 말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담이 뭉치고 쌓여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담적이 생기면 명치와 배꼽 주변이 덩어리처럼 딱딱하게 만져지고 두통, 어지러움, 부종, 피로, 불면 등의 전신 증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스트레스성 위장 장애나 과민성 장 증후군과 같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위나 장 운동에 제한이 오기 때문에 여러가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활동성 결핵 학교 수업 및 등교 일정 ??
결핵으로 인해 오랜 기간 휴학을 하지는 않으며 보통 결핵에 걸린 친구와 장기간 같이 있는 주변 사람들에 대한 역학 조사를 하게 됩니다. 결핵은 하루 정도 노출로 전파는 드물어서 보통 역학 조사 후에 다시 재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내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장운동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오고있는건가요?
네 증상이 나아지고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라면 나아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증상이 지속되지는 않고 있어서 병원을 다시 가지는 않아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증상이 재발하는 경우, 다시 진료를 받아 보시기를 바랍니다.
내과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움직임에 따른 맥박에 대해서 문의합니다
부정맥이 의심되는 경우, 24시간 심전도 측정을 하게 됩니다. 이는 심장 내과가 있는 병원 진료가 필요하게 되는데 1차 의원에서는 대부분 시행하지 않고 있어서 2차 병원 혹은 대학 병원 심장 내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