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6월 12일 작성 됨
Q.
수면부족으로 떨어진 기억력이 돌아올 수 있나요?
보통 일주일 이상 수면이 부족해지는 경우, 기억력이 떨어지고 집중을 하기 어려워 집니다.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하지만 수면 부족일 때 있었던 기억은 잘 나지 않게 됩니다. 규칙적 수면을 위해 자기 전 땀을 흘릴 정도의 걷기, 조깅 등 유산소 운동을 하고 따뜻한 음료를 드신 후 책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길고양이한테 긁혔는데 상처에 주황색 뭔가 생겼어요
모세 혈관 출혈로 인해 멍이 든 것으로 보이며 보통 피부 바로 아래에는 모세 혈관이 있기 때문에 점상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냉찜질을 하는 것으로도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어서 현재 특이 증상이 없는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피검사 전 커피먹었는데 채혈 다시 해야할까요?
커피를 드셨다고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변화하지는 않습니다.보통 음식을 드시면 혈당을 올라갈 수 있지만 그 외 다른 수치 등은영향을 받기 위해서는 2~3 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양이 많지 않은 경우, 수치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병원 진료과를 어디로 가야할까요??
속이 화끈거리고 설사를 하는 경우, 이는 내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급성 위장염의 증상으로 보이며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특징이 있지만 호전이 없는 경우, 내과 진료 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장염도 전염이 되는 병이라는데 어떻게 전염이 되는건가요?
감기 등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기침을 할 때 공기 중 비말 전파가 가능하며 장염은 장에 있는 세균 등이 설사나 변을 통해 나오게 되는 데 이때 대변을 본 후 손을 닦는 다고 해도 손에 세균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사람과 접촉할 때 전파가 될 수 있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심장마비 전조증상 일까요? 심전도찍으면 잡을수있나요?
심장 마비는 생각처럼 쉽게 왔다 가는 것은 아니며 증상만으로 진단은 어렵고 심전도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이에 이상이 없다고 해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심장 CT, Treadmill test, 심장 초음파 등의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대학 병원 심장 내과 정도에서 검사가 가능하며 현재의 나이에서심장 질환 보다는 스트레스 성 부정맥 등 스트레스와 관련된 증상일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내과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명치 통증 좀 봐주세요 위염은 없어진듯합니다.
명치 통증이 반복되는 경우, 위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역류성 식도염이나 만성 위염을 갖고 있을 수 있으며 음주나 맵고 짠 음식을 드실 때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을 때에는 위장약을 드시면서 내시경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2024년 2월 위장이 비틀어지듯이 아팠습니다
증상은 있는 데 검사에서는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을 때 스트레스성 위장 장애로 진단할 수 있으며 보통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 위산 분비가 많아지면서 복통과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완치가 되기는 어려워서 증상이 있을 때에는 위장약을 꾸준히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목에 뭔가 고이는 느낌도 후비루인가요?
두 가지 질병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도 많으며 증상이 이전과 약간 다르다고 다른 질병이 또 생겼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치료는 거의 같으며 후비루와 식도 역류에 대한 치료를 같이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수목원 걸었는데 최대 심박수 130이면?
운동 중에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은 정상으로 60~100 사이는 안정시 맥박수를 의미하게 됩니다. 맥박수 지체보다도 이것이 부정맥으로 인한 것이거나 가슴 통증, 숨이 찬 증상 등과 동반되었을 때 검사와 치료를 고려하게 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