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생물마다 수명이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생물의 수명차이는 단순하게 DNA 손상정도만아니라 유전자프로그램, 대사율이나 체격, 환경압력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결정됩니다. 예를들어 생쥐는 대사율이 높아서 활성산소가 많이생기고 빠르게 늙지만, 코끼리나 거북이는 세포분열 억제유전자등이 존재하여 세포손상이 늦어지고 수명이 깁니다.즉, 진화적인 생존전략에 따라서 최적화된 수명을 갖고있게된 것이라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Q. 달걀은 어떤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가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계란의 산란주기는 주로 호르몬분비에의해 조절되고, 조명이나 영양상태, 온도, 계졀, 스트레스요인같은 환경요인들이 큰 영향을 줍니다.달걀껍질의 색은 유전적인 요인이 결정적이고, 흰색은 프로토포르피린 색소가 거의 없는경우이고, 갈색은 프로토포르피린 침착, 푸른색, 녹색은 빌리베르딘 색소 침착 때문입니다.같은 품종안에서도 호르몬 분비량에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식물성 대체육이나 실제 동물세포를 배양해 만든 배양육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이 상용화되면, 전통적인 축산업은 환경부담, 동물복지논란을 줄이는 대안산업과 경쟁하고 공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예를들어 패스트푸드나 가공식품시장에서 대체육의 비중이 커지고, 전통고기는 프리미엄, 지역특산품과같은 틈새시장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Q.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요오드화 반응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아밀레이즈는 진선형 알파1, 4 글루코스 결합으로 나선구조를 형성하는데, 이 속빈 공간에 요오드 분자가 들어가면서 특유의 청남색 또는 보라색을 만들어냅니다. 반면에 아밀로페틴은 가지가 쳐져있는 구조때문에 안정적인 나선구조가 만들어지지 않고, 빈공간이 만들어지지 않아 요오드가 잘 결합하지 못합니다.그래서 색이 옅은 적갈색, 자주색 정도만 나타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