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집값은 언제쯤 떨어질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집값관련 문의 주셨습니다먼저 집값하락은 금리와 내년 정권교체와관련있으니 상황을 더 지켜보시길 추천드립니다다음으로 3기신도시 청약은 입지에 따라 차이가 크니잘 확인하시고 미래가치가 큰 곳으로 도전하시기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주담대 받아서 대출이 남아있는 집도 전세를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대출과 전세 관련 문의 주셨습니다대출과 전세가 동시에 가능한지 문의 주셨는데 만약 전세를 주시려면기존 대출을 모두 상환하셔야 합니다. 신용대출은 참고로 1억까지만주택에 이용 가능합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재계약 중계수수료는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재계약 관련 중개수수료 문의 주셨습니다재계약 관련 중개수수료는 금액별로 상이한 상한선에서협의로 가는한데 통상 받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최근 중개수수료 개정으로 상한이 개정되었으므로 이를 확인하시고좋은 협의가 되어 낮은 수수료율에 계약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아파트 단독명의 공동명의 장단점은 무엇일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공동명의 관련 문의주셨습니다공동명의의 경우 재산세에는 영향이 없으나 종합부동산세의 경우 이점이 있으십니다현재 개정 예정이나 현재 기준으로 공시지가 9억인 기준이공동명의의 경우 6억씩으로 나눠져서 절세효과가 있습니다도움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전세가 있는 주택을 구입시 계약서 다시 작성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전세 계약 관련 문의주셨습니다기존 세입자가 있는 건물 혹은 주택 매입시 기존의 계약 조건을 숭계하게 됩니다그러므로 새롭게 계약서를 작성할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부분을 확실히 하고 싶으시다면기존 계약서에 바뀐 명의로 작성을 하신든 것은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상가를 구매하려고 하는데 구입비용에 뭐가 퍼함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상가구입 비용관 수익 관련 문의주셨습니다말씀하신 비용 외에 공인중개사 수수료 비용과 인테리어 개보수 비용 등도 있습니다수익같은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5%이상, 10%정도이면 안정권이라고 할 수 있으나공실과 같은 변수를 생각하셔야 합니다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아파트구입할려하는데 자금부족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주택담보대출 관련 문의주셨습니다2금융권의 경우 대출이자가 높으니 4천정도시면가능하시면 신용대출을 이용하시는게 어떨까싶습니다. 1억까지는 주택담보대출에 이용 가능하십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월세 보증금 조정시 얼마가적정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전월세 전환 관련 문의주셨습니다전환율은 금리의 영향을 받고 현재 2.5%입니다질문자님의 보증금차액 6천5백에 2.5프로면이론상으로는 162,500 이 나옵니다 현실에서는 저금리로 질문자님의 예상에 못미치므로 협의가 필요해 보입니다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요새 부동산 시장 어떤가요?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가격 전망에 대한 문의 주셨습니다.최근 몇년간 과도하게 주택가격이 상승한 부분이 있으므로 어느정도의 조정이 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금리상승을 먼저 지켜보셔야 합니다또한 내년에 대선이 예정되어 있어 부동산 정책의 기조가 바뀔 가능성도 있습니다성급히 매수하지 마시고 일단 대선 후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보시는게 어떨까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부동산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집값은 언제쯤이나 안정하가 될런지 궁금함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가격 전망에 대한 문의 주셨습니다.향후 아파트 가격은 금리, 인플레이션, 정부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최근 몇년간 과도하게 집값이 상승한 부분이 있으므로 어느정도의 조정이 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과도한 규제 또한 조금은 풀리지 않을까 예상합니다.또한 내년에 대선이 예정되어 있어 부동산 정책의 기조가 바뀔 가능성도 있습니다성급히 매수하지 마시고 일단 대선 후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보시는게 어떨까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