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바다에서 파도가 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파도, 즉 해파라는 것은 바닷물이 주기적으로 오르락내리락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해파는 해수면의 변동이 일어났을 때 중력에 의해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해수가 이동함에 따라 나타납니다. 해파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해수면 위에 부는 바람입니다. 해수면 위에 바람이 불면 해수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해수가 이동하고 이로 인해 해수면의 변동이 생깁니다. 이외에도 해저 지진이나 화산 활동에 의한 해수면의 변동으로 인한 해파(쓰나미)도 있고, 달과 태양의 조석력에 의해 발생하는 해파(조석)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항성이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항성은 수소, 헬륨 등의 기체 등이 모여 이루어진 천체입니다. 성운에서 이들이 중력수축에 의해 수축하는 과정에서 중심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그 결과 수소의 핵융합으로 헬륨이 만들어지는 수소핵융합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항성은 내부의 수소를 융합시키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발생하고 열과 빛을 내게 됩니다. 중심핵에서 수소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를 주계열 단계라고 합니다. 중심핵의 수소가 모두 소진되면 별은 다시 수축하며, 이 과정에서 중심핵 근처의 온도가 수소핵융합반응을 할 수 있는 온도가 되면 중심핵 바깥에서 수소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를 수소껍질 연소라고 합니다. 수소껍질 연소가 일어나는 동안 별의 외부는 팽창하지만 중심핵은 수축합니다. 중심핵은 더욱 수축하여 1억K가 되면 중심핵을 이루고 있는 헬륨이 핵융합반응을 시작하여 다시 팽창하게 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