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의 최후는 어떤 별로 마무리 될것으로 예상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천문학자들은 별을 여러 종류로 구분하는데 별의 최후를 결정하는 것은 주계열성에 있을 때의 크기입니다. 주계열성은 별의 일생 중 대부분을 보내는 단계이며 표면온도가 높을수록 크기가 증가하며, 표면온도가 높은 것부터 O, B, A, F, G, K, M이라는 7종류로 구분합니다. 태양은 G형별로 주계열성 중 작은 편입니다.주계열성은 중심핵에서 일어나는 수소핵융합 반응으로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수소핵융합반응은 양성자-양성자(p-p)반응과 탄소-질소-산소(CNO) 순환반응이라는 2가지가 있으며 에너지 생성률은 CNO순환반응이 훨씬 크며, 수소 사용량도 많습니다. 별의 중심에서는 이 2가지 반응이 일어나는데, 온도가 낮은 별에서는 p-p반응만 일어나고, 어는 정도 온도가 되면 2가지가 동시에 일어납니다. 중심핵의 온도가 높을수록 CNO 반응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집니다. 따라서 별의 크기가 커질수록 중심핵에서의 수소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중심핵에서의 수소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합니다. 중심핵에서 수소가 모두 소진되면 주계열성 단계가 끝납니다. 태양은 p-p반응의 비율이 더 큰 별이고, 탄생 후 햔재까지 50억년이 지났으며 앞으로 50억년은 더 지나야 주계열을 벗어납니다.주계열을 벗어난 이후의 경로는 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큰 별인 O, B, A형은 적색초거성을 지나 초신성 폭발을 거치고 이후 블랙홀이나 중성자별로 진화합니다. 태양 정도 크기의 별은 적색거성 단계를 지난 후 표면을 행성상 성운으로 방출하고 남은 별은 백색왜성으로 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극지방에서 백야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백야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궤도면에 대해 약 66.5°(수직에 대해서는 약 23.5°)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여름철인 경우는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서는 하루 종일 해가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되는데 이를 백야 현상이라고 합니다. 백야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위도는 남중고도 공식을 이용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태양의 남중 고도는 (90°-위도+태양의 적위)로 구할 수 있는데, 태양의 적위는 하지 때는 +23.5°, 동지 때는 -23.5°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