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3월 7일 작성 됨
Q.
23년도 과학 3모 10번 문제 풀이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ㄱ. Mg와 O가 반응하여 MgO가 만들어지는 반응에서 Mg와 O는 1:1의 갯수비로 반응합니다. 따라서 1개의 산소분자(2개의 O)와 반응하는 Mg는 2개이고 생성되는 MgO도 2개입니다. 따라서 a는 2입니다.ㄴ. (가) 반응에서 O가 모두 소모되고 Mg가 남았다면 2:3의 비율이 되므로 (나) 반응에서는 Mg이 8/3이 반응에 참여하고 13/3이 남아야합니다. 따라서 (가) 반응에서 모두 소모된 것은 Mg이고 남은 것은 O입니다. 이렇게 되면 Mg:O는 3:2의 비율이 됩니다. 그리고 (나) 반응에서는 Mg가 6이 소모되고 O는 모두 소모됩니다. 따라서 Mg는 1이 남습니다.ㄷ. (가) 반응에서는 O가, (나) 반응에서는 Mg가 남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5일 작성 됨
Q.
우주의 별 크기는 어떤 물질에 의해 정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별(주계열성)의 크기는 처음 별을 이루게 된 성운(성간물질)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매우 많은 양의 성간물질이 모여서 별이 만들어지는 경우는 처음부터 크기가 큰 별이 됩니다. 주계열에 있는 동안은 중심핵에서의 수소핵융합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중심핵에 있는 수소가 모두 고갈되면 핵을 둘러싼 외각부에서 수소핵융합반응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중심핵에서는 수소핵융합으로 만들어진 헬륨의 핵융합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별의 크기가 증가하며 표면 온도는 낮아져 적색거성으 단계로 들어갑니다.이루 별의 크기에 따라 백색왜성이 되거나 초신성 폭발을 통해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진화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5일 작성 됨
Q.
먹구름은 까맣고 그냥 구름은 하얀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아주 작은 물방울들로 이루어졌습니다. 일반 구름의 경우는 구름의 두께가 얇아서 물방울들이 빛을 반사하여 하얗게 보이지만 먹구름의 경우는 구름이 두껍고 물방울이 많아서 빛이 물방울 사이로 들어가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즉 흡수되므로 까맣게 보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2월 29일 작성 됨
Q.
밤에 달의 위치가 동일한가요?? 아니면 위치가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갈의 위치 즉 고도는 달의 공전궤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단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데 천구의 적도와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가 23.5° 기울어져 있어 계절에 따라 태양의 적위가 달라지고 고도도 달라집니다. 달의 공전궤도(백도)는 황도와 약 5° 기울어져 있어 달이 공전하는 동안 적위가 계속 변합니다. 보름달의 경우 태양과 반대편에 있으므로 교울의 보름달은 여름의 보름달보다 고도가 높습니다.도움이.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2월 29일 작성 됨
Q.
우리가 밤하늘에 보는 별은 현재의 별인가요?? 아니면 오래전의 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은 핵융합반응을 통해 빛을 내는 천체입니다. 태양빛을 반사하는 천체는 행성입니다. 별까지의 거리는 매우 멀어서 빛의 속도인 광년을 기본 단위로 합니다.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입니다.빛은 1초에 30만 km를 진행하므로 여기에 365×24×3600을 곱하면 1광년을 km 단위로 바꿀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태양으로 빛의 속도로 500초가 걸립니다. 그 다음 가까운 별은 약 4.3광년입니다. 따라서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은 적어도 4년 이전의 모습입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약 200만 광년 떨어져 있으니 오늘 우리가 보는 안드로메다는 200만 년 전의 모습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