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4일 작성 됨
Q.
구름은 왜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 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가 아니라 아주 물방울입니다. 구름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승 기류가 있어야 합니다. 공기가 상승하는 동안 단열팽창에 의해 응결이 일어나 구름 방울이 만들어집니다. 질량이 매우 작은 이 구름 방울들이 상승기류에 의해 떠있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4일 작성 됨
Q.
밝은 날 안 개가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지면 부근에 있던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만들어집니다. 수증기가 응결하기 위해서는 지표면 부근의 기온이 냉각되어야 합니다. 지표면 부근의 기온은 태양이 지고 나면 입사하는 에너지가 사라지므로 지표면에서 복사로 방출되는 에너지에 의해 냉각됩니다. 지표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는 적외선으로 나갑니다. 맑은 날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거의 없으므로 적외선 복사를 막지 못해 재복사되는 것이 없어 흐린 날보다 더 냉각이 됩니다. 따라서 봄이나 가을, 초겨울의 맑은 날 새벽에 안개가 잘 발생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2일 작성 됨
Q.
별은 왜 갈수록 안보이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이 안 보이는 것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광공해(光公害)가 심해졌기 때문입니다. 즉,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야간 조명이 확대됩니다. 과거에 비해 가로등의 수가 늘어나고, 조도도 증가함에 따라 별을 관측하기가 더 어려워진 것입니다. 같은 날이라도 도시를 벗어나 조명이 적은 야외나 시골로 나가면 아직도 많은 별을 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지구는 대기를 가지고 있는데, 달은 왜 대기를 가지고 있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대기를 갖지 못하는 이유는 중력이 작기 때문입니다. 대기 입자는 태양 복사에너지에 의해 가열되며 운동에너지를 갖게 됩니다. 행성이나 위성이 대기를 가지려면 중력이 대기 분자의 운동에너지보다 커야 합니다. 달은 지구에 비해 중력이 1/6에 불과하여 대기 분자를 붙잡지 못하는 것입니다.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은 대기를 가지도 있는데 지구보다 토성이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에 대기분자의 운동에너지가 매우 작아 달과 비슷한 중력에 의해서도 붙잡혀 있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화학
2024년 3월 9일 작성 됨
Q.
중국 동해안에 있는 원전이 사고가 나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황해에는 특별한 해류는 없습니다. 그러나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가 남중국해로부터 황해로 유입되고 만의 형태로 되어 있는 황해를 한 바퀴 돌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중국 동해안으로부터 흘러나온 오염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이것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정치적인 의도를 배제하고 말해도 후쿠시마보다 훨씬 위험합니다.후쿠시마의 경우는 유출된 물질이 많은 양의 바닷물에 희석이 되고, 또 표층 순환에 따라 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야만 우리나라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그것에 비하면 중국에서 미치는 영향은 거의 즉각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