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은 금성입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를 1이라고 하면 태양과 금성 사이의 평균 거리는 0.72입니다. 따라서 지구와 금성 사이의 최단 평균 거리는 0.28이 됩니다. 실제 거리로는 약 4200만 km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삼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추운남극에 화산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은 지하에 있는 마그마가 지표를 뚫고 분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표에서의 기온은 위도에 따라 결정되지만 플룸이라고 하는 지하에서의 열을 흐름은 위도와 관계 없습니다. 맨틀 대류가 상승하는 곳, 또는 상승하는 플룸이 있는 곳에서는 위도와 관계 없이 화산 활동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계에 속한 행성중 사라진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행성이라는 용어를 정의해야 합니다. 국제천문연맹의 정의에 따르면 태양계에는 행성이 8개 있습니다.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는 순서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입니다. 현재 이 8개의 행성은 그대로 있습니다. 그 외 왜소행성도 있도 소행성도 있으며, 혜성, 위성 등 여러 천체가 있습니다. 아마도 질문하신 내용은 행성이라기 보다는 천체라고 봅니다. 이 중 우리가 목격한 사라진 것을 본다면 대표적인 것으로는 슈메이커-레비 혜성이 있습니다. 이 혜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다가 2009년 목성에 충돌하여 사라졌습니다.이 외에도 소행성 등은 수시로 충돌 등으로 자취를 감추기도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집을 구할때 사람들이 남향을 선호하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하므로 태양은 항상 남쪽을 지나갑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으므로 태양빛을 받아야 하기에 남향이 유리합니다. 이런 이유로 남향이나 남동향을 선호했습니다. 요즘은 아침 일찍 나오는 경우가 많아 남동향보다는 남서향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아주 특별한 경우에는 향보다는 뷰(view)를 중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이 수명을 다할때, 목성이나 토성 등의 행성들도 태양에 흡수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현재 탄생 후 50억 년을 살아왔으며, 앞으로 남은 수명은 약 50억 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50억 년 뒤 중심핵에서 수소를 소진한 태양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지름이 100배 이상 커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의 수성과 금성 공전궤도를 넘어서 지구 공전궤도 가까이에 도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구가 적색거성 태양에 잡아먹힐 지를 두고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설사 살아남는다 하더라도 바로 옆 적색거성 태양의 엄청난 열기에 모든 것이 녹아 마그마의 바다가 될 것입니다. 물론 생명체는 진작에 사라진 상태일 것입니다. 태양에서 꽤 멀찍이 떨어져 있고 자체 질량도 꽤 되는 목성이나 토성 같은 거대행성들은 수성, 금성, 지구보다는 덜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태양이 적색거성을 거쳐 백색왜성으로 바뀌는 사이 목성과 토성의 공전궤도도 꽤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적색거성이 된 태양의 강한 기조력에 의해 쪼개질 수도 있고, 반대로 태양과 멀어져 태양계를 벗어날 수도 있다고 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261271281291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