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동설을 주장할 당시 목성의 위성이 큰 역할을 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중심설(천동설)에 따르면 우주의 중심에는 지구가 있으며 다른 모든 천체는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을 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지구중심설은 중세의 카톨릭 교리와 잘 맞아 떨어져 교회의 강력한 옹호를 받게 되고,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디 않다는 태양 중심설은 매우 위험한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갈릴레이가 태양중심설을 이야기하고 책을 썼을 때 적용된 죄명은 신성모독죄였습니다.목성의 위성이 있다는 사실은 지구 중심설에 큰 위협이 됩니다. 지구 중심설에 따르면 우주에서 가장 고귀한 천체는 지구이므로 지구 이외의 천체는 다른 천체를 거느릴 수 없습니다. 그러나 갈릴레이는 자신이 만든 망원경을 통해 목성의 위성을 관측하고 '시데리우스 눈치우스'라는 저서를 통해 기록으로 남긴 것입니다. 이 발견은 교회에서 부여한 가장 고귀한 천체라는 지구의 지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고, 더 나아가 지구 중심설이 문제가 있다는 내용이 되어 지구 중심설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갈릴레이는 태양의 흑점을 관측하고 달의 표면을 관측해서 천체의 표면이 완전하다는 지구중심설에 위배되는 내용들을 공개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밤하늘에는 태양계 행성 중 하나인 목성을 매일 관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은 지구보다 바깥쪽 궤도를 공전하는 외행성입니다. 외행성은 지구보다 공전 속도가 느려서 공전하는 동안 태양, 지구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이 달라집니다. 태양과 정반대 편에 위치할 때(충)는 태양과 반대의 운동을 하므로 태양이 뜰 때 지고 태양이 질 때 뜹니다. 따라서 충일 때는 가장 오랜 시간 동안 관측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태양과 같은 방향에 위치할 때(합)는 태양과 같이 움직이므로 관측이 불가능합니다. 내행성인 수성과 금성은 해 뜨기 직전이나 해가 진 직후 일정 시간(최대 관측 시간은 수성은 약 1시간, 금성은 약 3시간)만 관측이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은하와 매우 닮았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안드로메다가 우리은하와 닮았다고 하는 것은 형태 때문입니다. 허블은 외부 은하를 관측하여 형태에 따라 타원 은하, 나선 은하(정상 나선 은하, 막대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로 구분하였습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모두 나선 은하에 속합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형태는 비슷하지만 크기는 안드로메다 은하가 우리은하의 약 2배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