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텐궁1호라 하면 중국의 우주정거장으로 아는데요, 주요 성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톈궁(天宮) 1호는 2011년 9월 29일 중국 주취안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첫 번째 우주 정거장 모델입니다. 톈궁 1호는 길이 10.4m, 최대 직경 3.35m, 무게 8.5t으로, 우주 정거장보다는 우주 실험실에 가까운 규모입니다. 톈궁 1호는 처음부터 지상 관제 센터에서 외력이나 중력 불균형에 대비한 자세 조정이 불가능해, 언젠가 폭파 또는 낙하 방법으로 회수할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톈궁 1호는 고도 약 360km의 저궤도에서 지구를 공전하는 모델이었으나 불과 5년 만에 고도가 310km까지 떨어져, 한국 표준시로 2018년 4월 2일 9시 16분에 남태평양에 추락하였습니다.톈궁 1호는 기존에 계획했던 선저우(神舟) 8~10호와의 도킹 임무 외에도 우주인 거주 실험도 수행하였습니다. 톈궁 1호는 기존 2년의 설계 수명에 따라 2013년 6월 선저우 10호의 지구 귀환을 마지막으로 주요 임무를 마쳤습니다. 하지만 중국국가항천국의 지속적인 운용 관리로 수명을 3년 가까이 추가 연장함에 따라 2011년부터 2016년 3월까지 지구 궤도에서 1천 630일간 머물렀으며, 이 기간 동안 중국측은 우주정거장의 설계, 제조, 관리, 통제를 위한 지식, 경험, 기술 데이터 등을 확보하였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갈릴레이의 목성 위성 발견이 지동설에 어떤 영향을 주게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갈리레이가 목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위성을 발견한 것은 천동설(지구중심설)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천동설에서는 '우주의 중심에는 지구가 있고 모든 천체는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한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는 목성에 위성이 있다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없는 사실이 됩니다. 갈릴레이는 장시간의 관측을 통해 4개의 위성(가니메데, 칼리스토, 에우로파, 이오)이 목성을 중심으로 공전함을 알아내었고, 이 내용을 다른 천문학 관측 사실들과 함께 이라는 책을 통해 알렸습니다. 목성이 위상을 갖는 다는 사실은 갈릴레이에게 천동설에 대한 의심을 더욱 확실하게 한 것입니다. 이후 금성의 위상 변화와 겉보기 크기 변화 등 다양한 사실들을 근거로 천동설이 잘못되었고 지동설이 옳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를 라는 책을 통해 밝혔으며, 이로 인해 종교재판(?)을 받고 교회에서의 파문 및 평생 가택연금 등의 처벌을 받았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국내 천문대는 어느지역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국내에는 대부분의 지자체마다 천문대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별로 사설 천문대도 많이 있습니다. 경기도 지역에는 양평 중미산에 있는 중미산천문대,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송암스페이스센터, 경북 예천 천문우주센터, 대전 시민천문대 등이 있고, 서울에는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광장동의 서울시립천문대, 봉천동에 있는 서울특별시융합과학교육원, 용산 과학동아 천문대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