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텐궁1호라 하면 중국의 우주정거장으로 아는데요, 주요 성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톈궁(天宮) 1호는 2011년 9월 29일 중국 주취안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첫 번째 우주 정거장 모델입니다. 톈궁 1호는 길이 10.4m, 최대 직경 3.35m, 무게 8.5t으로, 우주 정거장보다는 우주 실험실에 가까운 규모입니다. 톈궁 1호는 처음부터 지상 관제 센터에서 외력이나 중력 불균형에 대비한 자세 조정이 불가능해, 언젠가 폭파 또는 낙하 방법으로 회수할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톈궁 1호는 고도 약 360km의 저궤도에서 지구를 공전하는 모델이었으나 불과 5년 만에 고도가 310km까지 떨어져, 한국 표준시로 2018년 4월 2일 9시 16분에 남태평양에 추락하였습니다.톈궁 1호는 기존에 계획했던 선저우(神舟) 8~10호와의 도킹 임무 외에도 우주인 거주 실험도 수행하였습니다. 톈궁 1호는 기존 2년의 설계 수명에 따라 2013년 6월 선저우 10호의 지구 귀환을 마지막으로 주요 임무를 마쳤습니다. 하지만 중국국가항천국의 지속적인 운용 관리로 수명을 3년 가까이 추가 연장함에 따라 2011년부터 2016년 3월까지 지구 궤도에서 1천 630일간 머물렀으며, 이 기간 동안 중국측은 우주정거장의 설계, 제조, 관리, 통제를 위한 지식, 경험, 기술 데이터 등을 확보하였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갈릴레이의 목성 위성 발견이 지동설에 어떤 영향을 주게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갈리레이가 목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위성을 발견한 것은 천동설(지구중심설)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천동설에서는 '우주의 중심에는 지구가 있고 모든 천체는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한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는 목성에 위성이 있다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없는 사실이 됩니다. 갈릴레이는 장시간의 관측을 통해 4개의 위성(가니메데, 칼리스토, 에우로파, 이오)이 목성을 중심으로 공전함을 알아내었고, 이 내용을 다른 천문학 관측 사실들과 함께 이라는 책을 통해 알렸습니다. 목성이 위상을 갖는 다는 사실은 갈릴레이에게 천동설에 대한 의심을 더욱 확실하게 한 것입니다. 이후 금성의 위상 변화와 겉보기 크기 변화 등 다양한 사실들을 근거로 천동설이 잘못되었고 지동설이 옳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를 라는 책을 통해 밝혔으며, 이로 인해 종교재판(?)을 받고 교회에서의 파문 및 평생 가택연금 등의 처벌을 받았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국내 천문대는 어느지역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국내에는 대부분의 지자체마다 천문대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별로 사설 천문대도 많이 있습니다. 경기도 지역에는 양평 중미산에 있는 중미산천문대,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송암스페이스센터, 경북 예천 천문우주센터, 대전 시민천문대 등이 있고, 서울에는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광장동의 서울시립천문대, 봉천동에 있는 서울특별시융합과학교육원, 용산 과학동아 천문대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 개념을 최초로 제안한 인물은 누구며, 실질적으로 최초로 수학적 계산을 성공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블랙홀(black hole)은 중력이 매우 강하여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시공간상의 중력 특이점으로 대표되는 천체를 말합니다. 블랙홀이라는 개념은 1783년 영국의 존 미첼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존 미첼은 탈출 속도 개념을 이용하여 블랙홀의 개념을 설명하였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탈출 속도가 광속 이상인 천체에서는 빛조차 빠져나올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 별의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지 못하므로 검은색의 공처럼 보일 것으로 생각하고 ‘어두운 별(dark star)’이라고 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 공전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은 얼마쯤되고 중력대비해서 얼마쯤 된다고 볼 수있나?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 중력과 원심력을 비교하려면 공전이 아니라 자전에 의한 원심력을 비교해야 합니다. 지구 자전에 의한 원심력은 적도에서 가장 큽니다. 지구 반지름이 6400km, 자전 각속도가 2π/(24×3,600) = 7.26×10^-5(1/s)이므로 적도에서의 원심력에 의한 가속도의 크기는 6.4×10^6 (7.26×10^-5)^2 = 0.034(m/s^2)이 됩니다. 적도에서 표준 중력 가속도의 크기가 9.78m/s^2이므로 적도에서 자전에 의한 원심력은 중력의 약 0.35% 정도가 됩니다. 다시 말하면 중력이 원심력의 약 288배입니다.따라서 지구과학 교과서 등에 실린 그림은 중력에 비해 원심력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표시한 것입니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실제 크기와는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