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가 자전하거 공전하는 현상을 어떻게 관찰 할 수 있을까요?
지구는 북극과 남극을 잇는 축을 기준으로 자전하고 있습니다. 지구가 자전한다는 증거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푸코진자의 진동면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푸코 진자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그냥 단진자입니다. 푸코가 처음으로 이 현상을 발견했기에 푸코 진자라 부릅니다.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진자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진동 방향이 바뛰지 않을 걱입니다. 그러나 자전효과가 작용하지 않는 적도를 제외한 다른 곳에서는 지구 자전으로 인해 진자의 진동 방향이 바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북반구에서는 진동면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남반구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합니다. 이를 통해 지구가 북극에서 볼 때 시계 반대 방향, 즉 서에서 동으로 자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진동면이 회전하는 주기는 양극에서는 24시간이고 다른 지역은 (24시간/위도의 sin값)입니다. 둘째 증거는 인공위성 궤도의 서편 현상입니다. 인공위성은 지구 주위를 일정한 궤도로 돌고 있습니다. 인공위성이 지구를 한바퀴 돌 때마다 그 궤도가 서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합니다. 이것은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공전의 증거는 첫째 연주시차가 있습니다. 멀리 있는 별을 배경으로 비교적 가까이 있는 별을 관측하면 별의 위치가 6개월 간격으로 왕복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은 눈앞에 손가락을 세우고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번갈아 볼 때 멀리 있는 배경을 기준으로 손가락이 왔다갔다 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과 같은 이치입니다. 둘째는 광행차입니다. 광행차는 비가 내릴 때 우산을 쓰는 것을 생걱하면 됩니다 비가 수직으로 내리는 경우 서있을 때는 우산을 똑바로 들고 있지만 속도를 내서 달려갈 때는 약간 앞으로 숙이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은 비가 내리는 방향이 비가 내리는 속도와 내가 달려가는 속도가 합쳐진 방향으로 내리는 것처럼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천구의 북극 방향에 있는 별빛을 관측할 때 지구가 공전하지 않는다면 망원경을 수직으로 세워야 하지만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약간 앞으로 기울여야 합니다. 셋째는 별빛의 도플러 효과입니다. 별빛을 관측할 때 6개월 간격으로 별빛의 파장이 길어졌다 짧아졌다 하는 현상입니다. 지구가 공전하면서 별쪽으로 갈 때에는 별빛의 파장이 짧아지고, 별로부터 멀어지는 때에는 파징이 길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