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은 언젠간 소멸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태양은 약 50억 년 전 현재 태양계보다 큰 성운이 수축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성운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중심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수소가 핵융합 반응을 시작한 시점을 태양의 탄생으로 봅니다. 태양은 중심핵에서 일어나는 수소핵 융합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으며, 중심핵에서의 수소가 모두 소모되면 헬륨으로 된 핵만 남게 됩니다. 이때 까지를 주계열성이라고 합니다. 중심핵에서의 에너지 생성이 끝남에 따라 태양은 전체적으로 수축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중심부의 온도는 다시 올라가 중심핵을 둘러싼 껍질부분에서 수소해핵 융합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중심핵은 수축하지만 바깥부분은 팽창하여 거성이 됩니다. 이후 수축하건 중심핵의 온도가 1억도가 되면 3개의 헬륨이 융합하여 탄소 1개가 되는 헬륨핵 융합반응이 일어나고, 태양은 더욱 커져 적색거성이 됩니다. 과학자들은 태양의 크기가 탄소핵을 만들거나 조금 더 진행하는 정도가 되면 더 이상 에너지를 생성하지 못하고 백색왜성으로 일생을 마친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현재 태양의 남은 수명을 약 50억 년으로 보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천체망원경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망원경으로 관측하기 위해 삼각대와 경통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가대(mount)라고 합니다. 가대는 크게 경위대식과 적도의식으로 구분합니다. 경위대식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이고, 작도의식은 지구의 자전을 고려하여 천체의 적경과 적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만든 구조입니다. 경위대식은 특별한 조작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적도의식은 관측지점의 위도에 따라 조정을 해야 합니다.천체는 지구의 자전에 따라 운동하는 것처럼 보이므로 천체를 추적하면서 관측하려면 적도의식이 유리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산이 폭발하면 가장 무서운 재앙에는 어떤 재앙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화산 폭발에 따른 가장 큰 위험은 라하르(lahar)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하르는 화산이 분출할 때 대량으로 수분을 함유한 화산재 등의 분출물이 산의 사면을 흐르는 현상으로서 ‘화산이류((火山 泥流, volcanic mudflow)’라고도 합니다. 화산이류는 화산재부터 커다란 암석에 이르는 모든 크기의 물질을 산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운반합니다. 화산이류는 대규모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수반하는 재해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화산이류가 피해를 준 예는 1991년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했을 때인데, 이때 모든 전력 공급과 물 공급 등이 화산이류 때문에 중단되고, 다리와 길이 무너지고, 농장이 화산이류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가까운 일본에서는 1992년 큐슈의 운젠 화산 폭발에 따른 토석류로 마을이 묻히고 인명피해도 입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가 옆으로 올 때는 왜 비가 옆으로 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비가 옆으로 날리는 것은 바람 때문입니다. 빗방울의 크기가 작고 바람이 부는 경우는 비가 바람에 따라 사방에서 오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이것은 바람의 방향이 순간순간 바뀌기 때문입니다. 소나기가 내릴 때도 옆으로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 역시 바람 때문입니다. 소나기가 오는 경우는 강한 하강 기류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고 이것이 지면과 부딪혀 옆으로 흐르면 빗방울도 바람을 따라 내리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계에서 행성까지의거리 관련 질문인데 행성이 이동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궤도 반지름이라고 합니다.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은 지구 궤도 반지름(약 1억 5천만km)을 1로 하여 상대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행성의 공전 궤도가 원이라면 태양과의 거리가 일정하겠지만,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모든 행성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공전합니다. 따라서 태양과 행성 사이의 거리는 태양과 가장 가까운 근일점 거리와 가장 먼 원일점 거리 사이에서 계속 변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을 표현할 때는 근일점 거리와 원일점 거리의 합을 반으로 나눈 값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근일점 거리가 0.69이고 원일점 거리가 0.75라면 궤도 반지름은 0.72가 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