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을 관찰 가능 한 천문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천문대는 대부분의 지자체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는 노원구, 용산구 등에 설치되어 있고, 경기도에는 안성, 중미산, 장흥(송암스페이스센터) 등이 있습니다. 그 밖에 강원도 영월, 경상북도 예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등에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시민 천문대라고 되어 있는 곳은 비교적 저렴하게 이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거주 지역의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천문대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거주 지역을 알려주시면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알려드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의 겨특히 겨울 철 기온을 보면 동해안이 더 따뜻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겨울철에 서해안에 비해 동해안이 더 따뜻한 이유는 2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첫 번째는 해류의 영향입니다. 겨울철에 서해안에는 난류가 흐르지 않으나 동해안에는 동한난류가 흐릅니다. 이에 따라 표층 수온은 서해안은 4~6℃이고, 동해안은 10℃ 이상이어서 약 5℃ 이상 차이가 납니다. 두 번째는 푄 현상입니다. 푄 현상은 공기가 산을 넘는 동안 응결이 일어나는 경우 넘기 전보다 온도는 높아지고 습도는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초여름 북동풍이 불 때 태백산맥을 넘어 온 공기는 넘기 전보다 온도는 높아지고 습도는 낮아져 영서 지방에 가뭄 피해를 입힙니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불어 서쪽에서 동쪽으로 태백산맥을 넘어온 공기는 서쪽에 비해 온도가 높아집니다.이런 두 가지 이유로 인해 겨울철에는 서해안보다 동해안의 기온이 더 높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AU라는 거리는 어느정도의 거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AU는 천문단위(Astronomical Unit)를 말하며,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약 1억5천만km를 말합니다. 광년(ly)는 1초에 약 30만km를 진행하는 빛이 1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이며, 약 9조5천억k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광년을 천문단위로 나누면 1광년은 약 63200AU에 해당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인공위성은 어떻게 정보를 지구로 보내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과 지상과의 교신은 전파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위성에는 전파 송수신 장치가 필요합니다.인공위성 중 고도가 가장 높은 정지궤도의 경우 고도는 약 3만km이고, 저고도위성의 경우는 수백km입니다. 전파는 초당 30만km를 진행하므로 인공위성 고도 정도의 거리와의 송수신은 거의 동시라고 보아도 괜찮을 겁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영화 <아바타>는 어느 행성을 배경으로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영화 아바타는 2154년, 지구의 자원이 고갈된 시대를 배경으로 인류가 외계 행성 판도라에서 희귀 광물인 '언옵테늄(Unobtainium)'을 채굴하기 위해 벌이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판도라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닌 행성으로, 원주민 종족인 나비(Na'vi)가 살고 있습니다.일단 판도라에는 생명체가 살고 있고, 후속작의 부제가 '물의 길'인 것으로 볼 때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 행성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행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려면 중심별로부터 적당한 거리인 '생명가능지대'에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지구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생명체가 태어나고 진화하기 까지의 긴 시간을 고려한다면 중심별의 크기가 태양 정도여야 합니다. 이외에도 대기를 붙잡아 둘 만한 크기여야 하고, 생묭체의 진화에 방해가 되는 중심별로부터 오는 대전입자(charged particle)과 외계로부터 오는 우주선(cosmic ray) 등을 막기 위해 자기장도 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한 이런 조건을 가진 행성은 태양계에서는 지구가 유일합니다. 외계행성(exoplanet) 중에서 생명가능지대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들을 찾기는 했지만 그곳에 생명체가 존재하는 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따라서 영화 아바타의 배경이 되는 행성은 지구를 모티브로 삼아 임의로 만들어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66676869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