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화학
화학 이미지
Q.  라면을 끓일때 스프와 후레이크를 먼저 넣으면 끓는점이 상승하여 더 맛있어 진다고하는데 무슨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은 물에 녹아 이온이 되며, 소금 이온들은 물이 기화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같은 온도라면 물에 비해 수증기가 되는 양이 적어 기포 안의 기압이 작아지게 되고, 기포 안의 기압이 대기압과 같아지기 위해서는 온도가 더 높아져야 하므로 소금물의 끓는점이 높아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너무나도 아름다운 오로라. 오로라는 어떤 원리에 의해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 현상의 원리는 지구의 자성이 오로라가 생기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때문에 오로라 현상의 경우는 지구의 자기의 세기가 강한 북, 남극 극지방에서만 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즈마의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공기분자와 반응하며 빛을 내는 현상이 오로라 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지상에서 90~250km 상공에서 늘어진 커튼처럼 아름답게 펼쳐지는 모양인데이러한 모습 때문에 "오로라 커튼" 이라고도 불립니다."오로라(Aurora)"는 라틴어로 "새벽"이라는 뜻을 가졌다고 합니다.오로라라는 이름이 붙게 된것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명의 신인아우로라(그리스 신화의 에오스)의 이름에서가져왔으며, 새벽빛과 비슷해서17세기부터 오로라라고 불렸다고 해요.오로라 빛의 색깔에는 굉장히 다양해서 황록색, 붉은색, 노란색, 오렌지색, 푸른색,보라색, 흰색 등 여러가지라고 합니다.여러 빛깔로 생기는 원리도 있는데 저위도 지방에 붉은색을 띄는 오로라 현상은산소에서 나오는 파장 6,300Å(옹스트롬)의 빛에 의한 것인데, 고위도 지방의호상 오로라의 최하한에 나타나는 붉은색은 질소로 의해서 띄는 색이라고 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활성산소가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활성산소의 종류는 초과산화수소이온,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 라디칼, 싱클레트 옥시전 등 총 4가지다. 이 가운데 ‘물 분자’에 추가로 ‘산소 원자’ 하나를 달고 있는 형태를 지닌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뛰어나다. 늘 혹과 같은 산소 원자를 상대방에게 건네고 자신은 안정된 물 분자 형태를 취하려는 욕망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활성산소(Free Radical)는 노화나 질병을 유발하는 역기능만 하는 게 아닙니다. 세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신호를 작동시키는 순기능도 있거든요. 그래서 건강한 사람이 항산화제를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활성산소를 제거해 순기능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학자들이 많이 있습니다.”활성산소는 반응성이 큰 물질이고 공기중의 산소는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약한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보가드로 수는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특정 분자또는 원자의 몰 수를 알고있고, 원자나 분자 수를 구하라고 했을때 (몰 수) x (아보가드로 수) 하시면 됩니다.아보가드로 수는 6.02x 10 23승 입니다.편하게는 NA(A는 작게 씀) 라고도 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활성산소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우리 세포의 호흡과정에서 사용이 됩니다. 활성산소는 호흡하면서 부산물로 나옵니다. 활성산소가 우리 물과 만나게 되면 안정적인 물과 완전히 다른 반응성이 매우 큰 물질이 됩니다.과산화수소수입니다. H2O2입니다.활성산소의 종류는 초과산화수소이온,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 라디칼, 싱클레트 옥시전 등 총 4가지다. 이 가운데 ‘물 분자’에 추가로 ‘산소 원자’ 하나를 달고 있는 형태를 지닌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뛰어나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캐스케이드는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동위원소 분리을 할 때에 분리 과정을 단 한 번만 하는 것을 단일 과정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단일 과정만으로는 충분히 분리할 수 없으므로 분리 과정을 몇 회씩, 때로는 몇천 회나 반복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분리 과정을 연속적으로 배열시킨 것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의 개개의 분리 단위를 요소라고 하고, 요소를 연결한 배열을 캐스케이드라 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요즘 들어 해 뜨는 시간이 점점 더 빨라지는 느낌인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그것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자전축이 기울어져서 공전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해가 빨리 뜨고 늦게 지는 것입니다. 여름이 다가오는 거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대기권의 구분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권의 구조 학습목표 대기권을 기온의 연직 분포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산소를 태우면 불꽃이 생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를 태우면 열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불꽃의 색상은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아래 불꽃의 색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것입니다진한 빨간색일 때 600 ~ 800ºC노란색은 1,100ºC ~ 1,300ºC흰색은 1,300ºC ~ 1,500ºC푸른빛은 1,400ºC ~ 1,600ºC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펭귄은 얼음물을 어떻게 버틸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놀라운 일은 펭귄이 바닷물에 퐁당 빠졌다 육지로 나와도 펭귄의 몸에 얼음 결정이 생기지 않는다는 거예요. '미국 물리학회 유체역학분과 학술 대회'가 열린 지난달 22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UCLA) 연구진은 젠투펭귄의 깃털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펭귄의 깃털에는 나노 구조의 구멍과 특수한 기름 성분이 함께 있어 뛰어난 방수 효과를 만들어낸다"고 발표했어요. 펭귄은 매우 작고 촘촘한 솜털 같은 깃털이 빼곡하기 때문에 물기가 묻으면 금세 구형의 물방울로 뭉쳐지고, 둥근 물방울은 몸에서 쉽게 떨어져 얼음 결정이 생기지 않지요. 또한 꼬리와 깃털 아래에서 분비되는 기름이 방수 기능을 강화시켜줘요.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