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너무나도 아름다운 오로라. 오로라는 어떤 원리에 의해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 현상의 원리는 지구의 자성이 오로라가 생기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때문에 오로라 현상의 경우는 지구의 자기의 세기가 강한 북, 남극 극지방에서만 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즈마의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공기분자와 반응하며 빛을 내는 현상이 오로라 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지상에서 90~250km 상공에서 늘어진 커튼처럼 아름답게 펼쳐지는 모양인데이러한 모습 때문에 "오로라 커튼" 이라고도 불립니다."오로라(Aurora)"는 라틴어로 "새벽"이라는 뜻을 가졌다고 합니다.오로라라는 이름이 붙게 된것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명의 신인아우로라(그리스 신화의 에오스)의 이름에서가져왔으며, 새벽빛과 비슷해서17세기부터 오로라라고 불렸다고 해요.오로라 빛의 색깔에는 굉장히 다양해서 황록색, 붉은색, 노란색, 오렌지색, 푸른색,보라색, 흰색 등 여러가지라고 합니다.여러 빛깔로 생기는 원리도 있는데 저위도 지방에 붉은색을 띄는 오로라 현상은산소에서 나오는 파장 6,300Å(옹스트롬)의 빛에 의한 것인데, 고위도 지방의호상 오로라의 최하한에 나타나는 붉은색은 질소로 의해서 띄는 색이라고 합니다.
Q. 활성산소가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활성산소의 종류는 초과산화수소이온,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 라디칼, 싱클레트 옥시전 등 총 4가지다. 이 가운데 ‘물 분자’에 추가로 ‘산소 원자’ 하나를 달고 있는 형태를 지닌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뛰어나다. 늘 혹과 같은 산소 원자를 상대방에게 건네고 자신은 안정된 물 분자 형태를 취하려는 욕망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활성산소(Free Radical)는 노화나 질병을 유발하는 역기능만 하는 게 아닙니다. 세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신호를 작동시키는 순기능도 있거든요. 그래서 건강한 사람이 항산화제를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활성산소를 제거해 순기능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학자들이 많이 있습니다.”활성산소는 반응성이 큰 물질이고 공기중의 산소는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약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