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Q.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번역되어 소개된 서양 소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그동안 한국 최초의 번역소설은 기독교 번역 소설은 으로 1895년에 출간되었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그런데 최근 가 1894년에 출간되어 1년 더 빠르게 출간됐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는 그리휘트 존 목사가 지은 소설로 기독교를 전하기 위해 창작한 것이라고 합니다. 한국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던 프랭클린 올링거 목사가 이 소설을 1894년 한글로 번역해 출간했다고 하니 맞다면 가 최초의 서양 번역 소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시라는 건 도대체 언제 정의가 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시가의 기원은 원시 고대적 공동체 사회의 제천 의식 때 사용되던 기도사나 송축사 같은 것에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대 신이나 영웅에 대한 서사를 칭송하고 기록하는데서 기원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천의식이나 칭송 또는 찬송은 보통 음악과 무용 등과 함께 하면서 그 시가가 음악적인 요소를 띠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누가 그것을 처음 시라고 불렀는가는 알 수 없습니다. 시가가 발전해오면서 그 시대와 형태에 맞는 이름을 덧붙여 가요, 시조, 서사시, 서정시, 자유시, 정형시, 현대시 등등의 분류가 생겨났다고 봅니다.
Q.  소설에서 의식의 흐름이란 무엇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소설에 있어서 의식의 흐름이란 모더니즘 문학에 자주 등장하는 기법입니다. 등장인물의 생각, 기억, 자유 연상, 마음에 스치는 느낌을 그대로 적는 기법입니다.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이는 인간의 정신 세계를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눠서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정신작용을 통해 사람들이 평소에 자기 스스로 억눌러 온 감정이나 기억을 자연스럽게 풀어헤치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상의 와 같은 소설이 그러한 기법을 사용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이러한 기법은 근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지식인들의 혼란 등을 표현하기 위해 쓰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읊조리다가 무슨뜻인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읊조리다'는 '뜻을 음미하면서 낮은 목소리로 시를 읊다'라는 뜻입니다. '읊다'는 '억양을 넣어서 소리를 내어 시를 읽거나 외다'라는 뜻입니다. 이에 '박영감이 내게 다가와 읊조리듯 말을 했다'라는 문장이 있다면 /박영감이 내게 다가와 낮은 목소리로 말을 했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Q.  자음과 모음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자음은 만들어진 소리가 목, 입, 혀의 발음기관에 방해되어 (닿으며) 나는 소리입니다. 모음은 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 입, 코를 거쳐 나오면서 스스로 혼자서도 소리를 낼 수 있는 힘이 있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자음은 소리값은 있지만 모음에 기대어 나지 않으면 소리를 낼 수 없기 때문에 이 두 소리의 관계가 마치 어머니와 자식과 같다 하여 스스로 혼자서도 소리를 낼 수 있는 소리를 어미 모자를 써서 모음, 모음에 기대어 소리를 낼 수 있는 소리를 아들 자자를 써서 자음이라고 한다고 설명해주면 될 듯 합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