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의 왕 중에서 가장 오래 살았던 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21대 영조입니다. 조선왕조의 임금 27명의 평균수명은 47세였고, 일반인들의 경우 평균수명이 35세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영조는 83세까지 살았습니다. 그 첫번째 이유는 절제된 식습관입니다. 원래 왕은 하루에 5번 수라를 받았는데 이를 3번으로 줄였습니다. 그리고 열 두 가지가 넘는 반찬도 반으로 줄였고, 잡곡과 채식을 많이 구성한 건강식을 먹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식사를 하지 않으면 업무를 보지 않을 정도로 규칙적인 식사를 했다고도 합니다. 두번째 이유는 건강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인산을 좋아하여 인삼으로 만든 탕약인 건공탕을 즐겨했고, 63세 이후부터는 매일 어의에게 문진을 하였다고 합니다. 세번째로 정신건강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및 두뇌운동을 많이 했다고 합니다. 영조는 살아 생전 8,500편의 시와 글을 남겼습니다. 80세 무렵에는 한 해에만 1,000편이 넘게 썼다고 하니 노년에 드는 우울감이나 치매 증상 등을 예방하는데 좋았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자기 기분을 시원하게 표출하는 스타일이라서 스트레스가 쌓일 틈이 없었을 것이라고 합니다. 신하나 자식들에게 기분에 따라 욕도 하고 듣기 싫은 말을 들으면 귀 씻을 물을 가져오라 하여 씻을 정도로 괴짜였습니다.이렇듯 규칙적인 생활을 하며 건강을 챙기고, 스트레스를 즉각 푸는 생활습관을 가진 영조가 당시의 어떤 왕보다 장수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날 미인상은 현대와 달리 뚱뚱햇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꼭 그렇지는 않았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기준이 달랐다고 판단됩니다. 과거 미인도나 인물이 좋고 유명한 기녀들의 그림 등으로 보았을 때 미인의 기준이 뚱뚱한 사람이었다기보다는 지금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다만 지금처럼 깡마른 몸매의 여자는 자식을 낳고 하는데 부족하다고 생각했기에 예부터 골반의 모양 등을 보았으나 이것은 자손의 번창을 생각한 것이니 인물을 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미의 대명사인 아프로디테나 비너스 상을 보아도 풍만하지만 균형잡힌 몸매를 가진 것으로 표현되어있습니다.원시부족들의 경우 후덕하게 살찐 모습을 다산과 풍요의 상징이라고 하여 미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고, 목이 긴 것을 미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웃나라 중국을 보더라도 대부분 전통적으로 날씬하고 작은 사람을 미인으로 보다가 당나라 때는 좀 통통하고 살집이 있는 사람이 미인으로 인정되었다는 기록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발이 작은 사람을 미인이라고 하여 전족이라 하여 어릴 때부터 발을 꽁꽁 싸매어 기형적으로 작게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공동적인 미의 기준은 아래의 몇 가지로 추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과거에도 그것이 그렇게 다르지 않았다고 판단되나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던 것이었지 일반적으로 뚱뚱한 사람이 미인이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깨끗하고 맑은 피부건강한 머릿결과 풍성한 모발얼굴의 좌우대칭뚜렷한 이목구비좋은 인상
미술
미술 이미지
Q.  항구와 항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항구와 항만이 보통 우리가 인지하기에는 크게 차이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원래의 그 명칭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사전적인 뜻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항만 港灣 바닷가가 굽어 들어가서 선박이 안전하게 머물 수 있고, 화물 및 사람이 배로부터 육지에 오르내리기에 편리한 곳. 또는 그렇게 만든 해역(海域)항구 港口 배가 안전하게 드나들도록 강가나 바닷가에 부두 따위를 설비한 곳. 보통 기능에 따라 상항ㆍ군항ㆍ어항ㆍ공업항, 위치에 따라 해항ㆍ연안항ㆍ호항, 법제상으로 개항ㆍ자유항ㆍ중계항 따위로 나눈다[그림 출처 :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소 공식블로그]위의 그림과 같이 확연하게 구분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소 공식블로그 [해인싸] 항구와 항만, 차이점과 종류에 대해..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를 추천드립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선사시대 중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구분은 당시 사용하던 석기를 만드는 방법의 변화로 구분합니다. 구석기 시대는 뗀석기로 돌로 바닥에 있는 바위 등 큰 돌을 쳐서 만드는 모루떼기, 망칫돌을 쥐고 만들고자 하는 돌감을 쳐서 재단하는 직접떼기, 동물을 뼈나 뿔을 정처럼 이용하여 두들겨서 재단하는 간접떼기, 뿔 등의 도구로 돌감을 눌러 긁어내어 만드는 눌러떼기가 있었습니다. 신석기 시대는 똑같이 돌을 사용하였으나 그 재단하는 방법이 정교해졌습니다. 적당한 크기의 돌을 찾아 만들고자 하는 크기로 다른 돌을 이용하여 자르고, 단단한 바닥돌에 돌감을 갈아서 날카롭게 재단하였고, 현대의 칼처럼 끝에 구멍을 뜷어 나무에 동물의 가죽이나 질긴 넝쿨로 감아 도끼처럼 이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임진왜란 당시에 이순신이 정치적 모함을 겪었던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이 정치적인 모함을 받은 이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1. 이순신이 그 전공으로 칭송받으며 향후 권력의 핵심으로 성장할까봐 원균을 필두로 그의 실책을 상소하고 폄훼하려 하였습니다. 그리고 높아진 위상을 이용하여 백성들의 지지를 받아 왕처럼 행세한다고 모함했습니다.2. 이에 선조는 자신이 중요했음에도 그러한 사실을 믿을만큼 성정이 약했으며 그로 인해 구국의 영웅이었음에도 그 자손들까지 보상하지 않는 옹졸함을 보였습니다. 왕이나 다른 신하들이나 자신들의 권력을 지키기 위함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