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전해지고 있는 단군은 실존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군은 고대 한민족 국가의 황제를 지칭하는 직책과 같은 것입니다. 중국 ‘사고전서(四庫全書)’중 단군을 한국의 시조라고 언급한 자료가 있습니다. ‘사고전서’란 중국 청나라때 편찬된 책으로 진(秦)나라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나온 중국의 주요 서적들을 총망라한 동양 최대규모의 총서로 총 7만9000여권의 책이 수록돼 동양의 인문·사회·자연과학 연구의 밑받침이 되는 사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그리고 단군에 대한 기록은 ‘산해경광주(山海經廣注)’, ‘역대건원고(歷代建 元考)’ 등도 있다고 합니다. 너무 오랜 과거의 일이라 제대로 기록되거나 기록이 남아있는 것이 없고, 그나마 있던 사료들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이 없애고 식민사학으로 채워넣은 부분이 많아 민족사학자와 식민사학자들 간에 지금까지도 단군과 고조선에 대해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고조선의 건국은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원전 23~24세기 경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환단고기도 과거 위서 논란으로 시끄러웠으나 최근 그 내용이 고증되는 것들이 많아 고대사를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진서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입니다. 고조선 단군은 2,300여년간 유지되었다 하는데 단군세기에 나오는 47명의 단군이라는 설도 있고, 전기 47명의 단군 이후 은나라에 패했다가 다시 일어서 국가를 재건하고 40명의 단군이 더 통치했던 후기가 있다는 설도 있습니다.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는 않지만 여러 사료들에 조금씩 단군이 언급되는 것만 보아도 우리 단군은 그리스, 로마 신화 같은 이야기가 아니라 실존했다고 생각됩니다.
Q. 우리는 매우 좋다는 표시로 엄지척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확한 기원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엄지손가락은, 위로 올리냐, 아래로 내리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위로 올리는 행위는 영어권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를 의미이지만, 중동, 서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모멸의 표현이라고 합니다. 기타 유럽 및 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는 외설적인 표현으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엄지손가락을 최고라고 치켜세우는 뜻으로 한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대 로마의 검투사 경기에서 관객이 사용하던 패자를 용서하는 제스처가 유래라는 설이 있습니다. 경기에는 졌지만 아주 훌륭한 경기를 보였으니 살려주라는 뜻으로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었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엄지손가락을 아래로하면 패자를 죽이라는 의미였습니다. 언어학적으로 본다면 우리나라에서 엄지는 어머니의 '엄', 손가락 '지'로 과거 모계사회의 흔적이 남았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손가락 중에 가장 굵고 힘이 센 손가락이라는 뜻으로 엄지 즉, 어머니의 손가락의 의미입니다. 한자에서 살펴보면 엄지를 뜻하는 무지 拇指는 손 수手 변에 어미 모 母가 결합된 이름으로 우리말 엄지와 같은 뜻입니다. 기독교 수어에서도 하나님을 뜻하는 말이 있는데 그것이 우리가 쓰는 최고의 뜻과 같은 오른 쪽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고 그 아래에 왼쪽 손바닥으로 받쳐 올리는 표현을 합니다.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해당 표현은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중동, 서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모멸의 표현이라고 하니 그 쪽에서는 조심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Q. 24절기 역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 유사한 질문을 하신 분이 있어 그 때 답변 드렸던 내용을 정리하여 다시 공유드립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상 상태에 맞춰 붙인 이름이므로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 간격으로 24절기를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입니다. [자료출처 - 두산백과]각 절기마다의 그 범위가 15일입니다. 음력을 사용했으나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현재도 중국의 화북 지방과 위도가 같은 경우에는 경도의 차이에 의해 하루 정도의 시간 차이는 있지만 거의 같습니다. 그 기준이 되는 지역과 남북으로의 위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 적절히 감안하여 참고하여 농사에 적용하였습니다. 지구는 극점과 적도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선을 그어 위도와 경도로서 위치를 파악합니다.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 가를 측정하는 척도인데 계절과 관계가 있습니다. 경도는 극점을 이어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지구의 자전이 1시간에 15도 이동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24개의 시간대를 설정하여 시간과 관계가 있습니다.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음력은 계절에 따라 24절기를 운용하고 그것은 농사 및 어업 활동에 활용했습니다. 대한민국처럼 국토의 면적이 동서남북으로 크지 않은 경우에는 각 지역이 걸쳐있는 위도와 경도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시차는 없다고 볼 수 있고, 위도에 따른 계절의 차이는 국토가 남북으로 약간의 길이가 있어 몇 일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계절이 달라질만큼의 차이는 없습니다.벚꽃이 피는 시기만 보아도 남쪽은 빨리 개화하고, 북쪽으로 갈 수록 늦게 핍니다. 단풍은 북쪽이 먼저 들고, 남쪽는 나중에 단풍이 듭니다. 이것은 1~2주일 차이입니다. 고로 대한민국은 전 지역 같은 날짜로 24절기를 확인하고, 지역에 따라 경험적으로 파종 및 수확시기 등을 조절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