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어떻게 나누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구분은 간단합니다. 이성계가 왕위에 오른 시점은 고려시대였고, 이후 정도전의 의견을 받아들여 고려의 색을 없애고 새로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국호를 바꾸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당시 강국이었던 명나라에 새롭게 조선이라는 국호로 외교적으로도 인정받았던 시점부터 고려 시대는 막을 내리고 조선시대가 시작된 것이라 보면 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점묘화란 무엇이며, 이 예술 형식의 주요 특징과 특유한 스타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점묘화는 점을 찍어서 그림을 그리는 화법으로 프랑스의 화가 조르주 쇠라가 개발했다고 알려져있고, 그의 동료인 폴 시냑도 함께 점묘화의 개발에 이바지를 했다고 합니다. 이들은 신인상주의로 분류가 되었습니다. 보통의 그림의 경우 선이나 면을 물감으로 칠해서 표현하는데 점묘화는 그 선이나 면을 점으로 찍어서 표현하고 명암등을 구분할 때 농도를 달리한 점을 찍어 그라디에이션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점묘법으로 그린 그림은 가까이서 보면 그 점들이 드러나 이질감이 느껴지지만 멀리서 작품을 바라보았을 때는 일반 유화와 같은 느낌입니다. 즉 터치의 방법이 점으로 표현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점묘화는 상당히 과학적인 원리가 들어가 있는 그림으로 빛과 물감의 차이를 인지하고, 색이 섞여지면 탁해지고 검은 색에 가까워진다는 것에서 착안하여, 점묘법으로 찍은 여러 점에서 반사되는 빛을 우리의 시각이 각기 다른 빛이 아닌 여러 빛이 섞인 색으로 인식한다는 원리로 색의 조화를 표현하였습니다. 즉 물감은 섞이면 탁해지지만, 점묘법으로 찍은 물감들은 섞이지 않고 반사되는 그 빛이 섞이는 것이므로 훨씬 밝고 선명하게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묘화의 원리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출하는 방식과도 다르지 않는 최첨단의 과학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사나 차례지낼때 술잔을 향불위에서 두번돌려서 올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래 초에 불을 붙이고, 향을 피우는 이유는 조상의 영혼을 불러온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제를 올릴 때 술잔을 두 손으로 받쳐 올려 상에 올리는 행위가 제단 앞에 있는 향 위를 지나다 보니 그것을 잘못 이해한 사람들의 행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집에서는 오른쪽으로 몇 번 왼쪽으로 몇 번 돌리는 집도 있고, 향 연기에 한번 그을리는 정도로 하고 술잔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설이 없으니 음향오행에 의해 제사상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6시-9시-12시-3시 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돌려야 한다는 집안도 있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야 하다는 집안도 있고, 잔을 돌리지 않고 그냥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올린다는 집안도 있고 아주 다양합니다. 어떤 이유로 다르게 이어져 왔는지는 모르나 그 정확한 사실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냥 각 집안에서 내려오는 전통적인 방식에 대해 존중하고 서로 간의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 속 공신으로 인정되면 특혜는 무엇이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에도 녹공을 내렸다는 기록은 있으나 공신책봉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없는 듯 합니다. 고려 때는 공신의 경우 토지와 노비를 내리고, 무신정권 이후에는 그 자손에게도 특혜를 대물림하게 확대되었습니다. 조선에도 그대로 이어져 그 명칭만 달리하였다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공신의 정도를 더욱 세분화하여 1~4등 공신 등 등급을 나누어 그에 따른 특혜의 정도도 달리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의 공신호는 개국공신부터 시작하여 총 28개에 달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근현대사 관련서적보다가 조세형이란인물이 있던데 왜 대도라고 부르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조세형이라는 사람은 1970~80년대 전과 17범으로 유명한 절도범이었습니다. 그가 유명인사의 집도 많이 털었기 때문에 별명이 대도 조세형이라고 불리었습니다. 전직 국회의원, 현직 부총리, 유명기업 사장, 국내 재벌가 딸의 집 등에서 엄청난 명품들을 훔쳤기에 그랬습니다. 조세형은 밤에는 도둑질을 하지 않고, 낮에 부자집만을 골라 절도행각을 벌였습니다. 부자들이 뒤가 구려서 잘 신고하지 않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절대 사람을 다치게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무리 훔칠 것이 많아도 딱 20분만에 작업을 하고 나왔다고 합니다. 외국인의 집은 나라망신이라 털지 않고, 판검사의 집도 털지 않았다고 합니다. 판검사의 집은 자신은 잡히지 않겠지만, 다른 절도범들에게 피해가 갈까봐 그랬다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훔친 돈 및 재물의 30%를 가난한 사람을 위해 썼다고 합니다. 그래서 대도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당시 정치인, 부자들에 대한 반감이 심했으니까요. 하지만 조세형은 그냥 절도범입니다.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