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순수한 우리한글만 알수있는어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어플의 전체를 살펴보지는 못했지만, '순우리말 사전'이라는 어플이 있습니다. 그것 외에는 국립국어원이나 다른 사전 어플에서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서구문학을 소개한 잡지는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최남선이 발간한 , 김억과 주요한의 , 해외문학연구회의 동인지 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논리적으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신문의 사설을 많이 읽어보고 그 논설문의 구조에 익숙하게 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에 따라 어떠한 주제에 대해 논설문의 구조에 따라 글을 쓰는 훈련을 해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문학작품을 감상할 때 꼭 작가가 살았던 삶이나 시대를 알아야 작품을 잘 읽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학작품의 배경에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는 경우 그러한 내용을 알면 작품의 등장인물이 행동과 가치관 등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곧 작가가 어떤 것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왜 그러한 표현을 했는지 등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리듬이나 운율이 없는 산문도 시가 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보통 산문의 경우도 시적 표현을 쓴다는 말을 합니다. 이러한 이들은 산문을 쓰기 이전 시를 썼을 가능성이 높죠. 보통은 시에 운율이 있어야 합니다. 산문과 운문의 차이입니다. 그런데 산문을 쓸 때 시적 표현방식을 쓴다면 글에서 운율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작가의 의도가 중요한데 뭘로 발표한 것인가에 따라 규정될 수 있습니다. 평가는 독자가 하겠지만 그것이 시인지 산문인지는 발표하는 작가에 우선합니다. 평가는 그 이후 입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