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화공생명공학을 전공

화공생명공학을 전공

이정수 전문가
가천대학교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철은 녹스는데 금이나 은은 녹이 왜 안슬어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이 스는 이유는 금속의 반응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금은 모든 금속 중 반응성이 낮아서 녹이 거의 슬지 않습니다. 그래서 과거 보물을 보면 황금이 많은 이유가 녹슬지 않고 오래가기 때문에 영속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입니다. 철과 같은 금속은 반응성이 좋아서 녹이 잘스는데 그 외에 다른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칼륨, 칼슘 등이 있습니다.이공계 실험 | 일반화학실험 | 금속의 반응성 | 의약품 연구 | IT (tistory.com)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실러캔스가 왜 살아있는 화석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실러캔스가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실러캔스 화석과 동일하게 살아있는 개체이기 때문입니다. 보통 오랜시간이 지나면 생물은 진화하거나 퇴화하여 그 특성이 바뀌기 마련인데 실러캔스는 과거 공룡시대부터의 특성이 그대로 이어져와서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나라마다 계절이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계절이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팽이처럼 회전한다면 태양을 맞닿은 면은 한낮이고 더운 여름일 것이며, 반대편은 겨울일 것입니다. 그러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서 이를 통해 계절풍, 편서풍 등의 현상이 나타나 대기의 이동을 통해 열이 이동하면서 여름과 겨울의 중간 정도인 봄과 겨울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화력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기발생의 원리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화력발전소는 석탄을 태워서 생긴 열로 물을 끓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만들고 이것으로 터빈을 톨려서 전기를 생산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바퀴벌레는 멸종을 안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퀴벌레 멸종이 어려운 이유는 우선 뛰어난 번식력과 살기 좋은 환경입니다. 아무리 약품이 좋아졌어도 바퀴벌레는 순식간에 알을 까고, 약품에 대한 내성을 기르기 때문에 완전한 박멸은 어렵습니다. 또, 하수구를 전부 약품처리 할 수 는 없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서 바퀴벌레가 생존을 이어나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벌이 사라지게 되면 지구가 멸망한다는 말은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벌은 인간이 수확하는 곡물, 과일 등 식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흔히 암술과 수술이 만나서 꽃을 피고 열매를 맺는다고 아실텐데요 이것의 핵심 역할이 바로 벌입니다. 분명 바람이나 새 등에 의해서도 수분이 일어나지만 벌에 하는 것에 비하면 세발의 피라고 보실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벌이 사라지게 되면 식량부족이 매우 크게 증가하고 이는 식량안보와도 직결되고 일반 시민들은 밥상물가가 급등하여 인간생활의 필수인 의식주 중 '식'이 제대로 충족되지 못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얼마전 TV에서 우주과학에 대한 세계의 도전을 봤는데..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중력 훈련은 비행기를 이용해서 인위적으로 무중력 환경을 만듭니다. 중력은 아래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비행기가 동일하게 아래 방향으로 중력가속도 만큼 비행하면 중력이 순간적으로 없어져서 무중력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환경은 중력만 없을 뿐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에베레스트산에는 어떻게 동물이 사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이 명확히 이해되진 않으나 고도가 높은 환경에서 살아남는 방법에 대해 말하시는 것이면 사람의 경우 폐포의 수와 면적이 중요합니다. 고도가 높을수록 산소 농도가 낮기 때문에 지상에 있을 때와 숨을 쉬면 들어오는 산소양이 적어서 산소부족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폐포의 면적과 수가 많으면 더 많은 산소를 체내로 들여보낼 수 있기 때문에 생존에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반도체는 작으면 작을수록 성능이 좋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도체는 쉽게 말하면 블록 쌓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도체가 작을수록 동일 면적에 더 많이 넣을 수 있으면 성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요즘 유행하는 메타인지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메타인지를 쉽게 비유하자면, 어떤 학생이 성적을 올리고자 할 때 공부해야 하는 과목을 생각하는 것을 넘어서서, 그 과목을 공부하는 학생 자신을 생각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공부해야 하는 과목이 아닌 공부하는 자기 스스로를 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공부하는 자기 자신을 3자의 입장에서 봄으로써 스스로의 공부 방식이나 행동에 문제 없는지 돌이켜 볼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메타인지는 자기 자신 뿐만 아니라, 타인이나 어떠한 상황에도 적용 가능해서, 상황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줍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