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0월 30일 작성 됨
Q.
겨울철이면 정전기가 너무 심하게 나서 자꾸 놀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중의 상대습도가 매우 낮기 때문이랍니다.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서 정정기가 덜 일어나나, 겨울철에는건조해서 그렇답니다.. 습도가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죠.
화학
2022년 10월 30일 작성 됨
Q.
배고플 때 나는 꼬르륵 소리는 어떻게 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식도를 지나고 위를 거쳐 음식물이 소화돼요. 위는 음식이 들어오면 열심히 운동을 해서 음식물을 잘게 부수지요. 잘게 부서진 음식물은 점점 아래로 내려가서 소장과 대장으로 이어져요.이때 위가 줄었다 늘었다 하면서 음식물을 잘게 부수는 것을 연동운동이라고 해요. 그런데 위는 우리가 아무것도 먹지 않은 공복 상태 즉 비어 있을 때에도 줄었다 늘었다 하면서 운동을 해요.위가 비어있을 때는 위 속에 공기가 차 있는데이 공기가 위의 운동에 의해 소장으로 내려가면서 꼬르륵하고 소리가 나는 거예요.
물리
2022년 10월 30일 작성 됨
Q.
대부분의 음료수 캔이 원통(원기둥)형태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캔이 각져있으면 각 부분이 깨지거나 할 확률이 커지기 때문이랍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자판기 등에서도 원통으로 되어야 계속 밀려 내려올 수 있기도 하답니다!
화학
2022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소금을 넣으면 왜 물의 끓는점이 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면이 더 높은 온도에서 빨리 익기 때문에 덜 뿔어서 그렇답니다.소금이 물에 녹으면 소금이 물이 끓는걸 방해해서 끓는점이 조금 오른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안개는 어떻게 생기는 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이가 응결하여 지표 가까이에 작은 물방울이 뜬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가시거리가 감소하여 시야 확보가 잘 안되며, 가끔 약하게 빗방울이 흩날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름과 안개의 구성 요소 및 생성 원리는 동일합니다. 그래서 지표면에 붙어 있는 구름을 안개라고 부르죠. 안개처럼 낮게 깔리는 구름인 층운도 10종 운형중에 분류되고 있습니다. 런던에서는 안개가 심할 때면 팔을 옆으로 쭉 뻗으면 자신의 손을 볼 수 없을 정도라고 하는데요, 산업 혁명 시대 당시의 영국 남부는 정말로 진한 안개와 심한 스모그가 한꺼번에 겹쳐 "노란 수프 안개"라고 자조하는 소리가 나올 만큼 안개가 자주 끼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0월 29일 작성 됨
Q.
인바디 체중계의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이 인바디 기계는 수분이 많은 근육에는 전류가 잘 흐르고 수분이 적은 지방에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다는 기본 원리를 이용하여,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저항값을 통해 인체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10월 29일 작성 됨
Q.
가을에 나뭇잎 색깔이 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나뭇잎이 녹색인 것은 그 속에 들어 있는 엽록소때문이라는 사실 다 알고 계실텐데요 모든 녹색 식물들은 엽록소 이외에 '카로테노이드'라는 화학물질 색소도 갖고 있어 노란색, 오랜지 색을 나타냅니다.하지만 1년 중 대부분의 기간동안 카로테노이드는 엽록소에 가려져 색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고, 나뭇잎의 수명이 끝나가는 가을이 되면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카로테노이드의 색이 나타나 단풍이 들게 된다고 해요.또한 1973년부터 나뭇잎의 색상을 연구해 온 전 플로리다국제대학 데이비드리 교수에 따르면 단풍 색은 카로테노이드 외에도 다른 색소가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색소가 바로 '안토시아닌'으로 대개 붉은 색과 블루베리 색을 가진다고 해요. 이 색소는 새로 자라는 잎에서도 생산이 되어 새 나뭇잎이 종종 붉은 색을 띠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하네요!
화학
2022년 10월 29일 작성 됨
Q.
라면에 우유를 넣으면 왜 붓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라면을 몸이 붓는 이유는 나트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그런데, 얼굴은 심장과 거리가 있어서 혈압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데 취침을 하면 높이가 같아져서 얼굴이 혈압이 높아 상대적으로 얼굴이 많이 붓는거랍니다.그런데, 우유를 넣으면 덜 붓는 이유는 우유에는 칼륨이 많이 들어있답니다. 칼륨은 체내의 나트륨 배출을 돕기 때문에 나트륨 농도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덜 붓게 되는거랍니다. 그래서 우유 외에도 칼륨이 높은 음식을 같이 드시면 덜 부으실 거랍니다.궁금증이 해결되셨기를 바래요.
화학공학
2022년 10월 29일 작성 됨
Q.
구리가 항균 효과가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리이온 때문이랍니다. 구리이온에서는 바이러스가 살아가기 힘든 환경인데요, 미량동이라는 작용을 하여, 바이러스의 겉부분인 단백질을 파괴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바이러스가 살아가기 힘든 환경이라 향균이 되는 거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29일 작성 됨
Q.
물컵에 물이 가득 채웠을때 맨 위에 동그랗게 물이 차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표면장력이 쌔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랍니다. 물은 다른 물질들과 다르게, 수소결합을 하고 있어서 결합이 강하답니다. 그래서 표면장력도 다른 물질에 비해 쌔다보니 물끼리 끌어당기는 힘이 쌔서 물이 볼록 올라오는 현상을 볼 수 있답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