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전투식량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 동결건조 후 물을 넣으면 재생되도록 제작이 된답니다. 수분을 아예 빼버린 후 저장하면 오랜기간 저장이 가능해서 그렇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영화에서 우주인들이 착용하는 헬멧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는 산소가 없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서 헬맷과 우주복이 모두 연결된 구조랍니다. 외부로 부터 차단하여 얼굴을 보호하는 기능도 있구요. 가장 큰 이유는 산소공급이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중력이 인간의 몸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없다면, 사람이 살기 어렵답니다. 중력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자유롭게 걸어다니고 물체를 잡기 쉽답니다. 또한, 대중교통도 다녀야하고 기타 물체가 땅에 붙지 않고 모두 공중에 떠다녀서 생활하기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센서등은 어떻게 동작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센서등의 감지원리는 적외선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방식을 기본원리로 하는데요.적외선은 전자스펙트럼에서 가시광선보다 더 긴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요.움직임이 있는 물체는 열을 발생하고 또한 적외선을 방출하지요.동물과 인간의 몸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9.4um의 파장에서 제일 강하여 센서등에 내장되는 센서는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전압의 형태로 변환시켜 광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초전센서(PIR센서)를 이용한 것입니다. 조금 다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적외선을 인지 하는 원리가 적용된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하늘은 왜 파란색이죠??????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거리를 이동한다면 붉은색보다 파란색 계열이 더 많이 움직이는 바쁜 움직임을 보이게 됩니다. 즉, 움직이는 횟수가 많을수록 진공으로부터 진입된 태양의 빛이 지구 대기층 등의 장애물을 지날 때 방해를 많이 받게 되므로 빛이 흩어지는 산란이 잘 일어납니다.사실 파란색보다 보라색이 더욱 파장이 짧으므로 보라색 하늘을 보여야 하나 태양에서 오는 가시 광선 중 보라색은 파란색보다 빛의 양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보라색 부분의 빛은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하기 전에 이미 사라지고 적은 양만 남아 우리 눈까지는 도달하지 못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하늘의 색은 보라색에 가까운 색을 띠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계절에 따른 낮시 밤시간의 차이는 왜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공전때문이랍니다. 지구는 365일에 1바퀴씩 태양을 공전하고 있답니다. 그렇다보니, 공전주기에 따라 우리나라가 태양과 가까워질수도 멀어질 수 도 있는데, 겨울철에는 멀어지는 구간이기때문에 춥고, 밤이 길어지는 거랍니다.
화학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집에서쓰는 부탄가스는 실온에 놔두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어차피 보통 내부로 햇빛이 침투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이 크거나 하진 않습니다. 다만, 혹시나 하는 우려때문에 직사광선을 피하는게 좋습니다.
화학공학
2022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체성분분석기는 손잡이와 발판을 통해 사람 몸에 미세 전류를 흘려보냅니다. 이때 나타나는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해 체성분 비중을 확인합니다. 예컨대 수분이 많은 근육은 저항값이 낮아 전기가 잘 흐릅니다. 반면 수분이 적은 지방은 저항값이 높아 전기가 잘 못 흐르죠. 인체의 수분, 단백질, 지방 등 측정 대상에 따라 주파수를 바꿔 나타나는 저항값을 확인하는 식으로 체성분을 측정합니다. 측정할 때는 공복 상태인 게 좋습니다. 기기가 음식물을 근육이나 체지방으로 오독할 가능성이 있어서죠.
화학
2022년 10월 25일 작성 됨
Q.
불활성 가스 종류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질소는 불활성기체는 아닙니다. 주기율표에서 18족에 위치한 원소들이 불활성 원소들 입니다. 대표적으로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크립톤(Kr), 제논(Xe), 라돈(Rn) 등이 있답니다.
화학
2022년 10월 25일 작성 됨
Q.
물은 100도 이상 안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은 100도씨가 넘어가면 수증기로 기화되기 때문에, 그 이상 끓지는 않는답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