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플레이션이 없으면 주가도 안 오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 시장과 물가 상승은 단순히 상관관계가 있을 뿐, 절대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물가 상승이 주가 상승을 촉진하는 경우도 있지만, 경제 성장 둔화, 금리 인상 등 다른 요인들이 주가 하락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물가가 오르지 않더라도, 기업의 실적 개선, 투자 심리 향상 등 다른 긍정적 요인들이 작용한다면 주가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Q. 기회비용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언제 쓰이는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의 가치. 예를 들어 금리가 저축은행 5%, 은행 3.5%, 우체국 2.5%인 상황에서 2천만원으로 예금을 하려 하는 사람이 우체국의 안정성을 이유로 금리가 가장 낮은 우체국을 선택한다면, 이 사람의 기회비용은 금리가 가장 높은 저축은행 예금인 셈입니다. 안정성이 높은 우체국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기회를 포기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경제학에서는 눈에 보이는 회계비용뿐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비용까지 넣어 계산할 줄 알아야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실제로 현금을 지출하지는 않았더라도 어떤 선택을 하기 위해 포기한 것은 그 선택의 대가 즉, 비용으로 보며, 이런 비용을 기회비용이라고 부릅니다즉 중3 사회공부에서 배우는 기회비용은 간단히 말해, "선택하면서 포기하는 것의 가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예를 들어, 친구와 영화 보러 가는 대신 집에서 공부하면, 영화 재미를 포기하게 됩니다. 이 영화 재미가 바로 기회비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