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외국여행후 국내로 들어올때 반입안되는 물품은뭐가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반입 금지 물품 : 음란물, 퐈폐, 채권, 기타 유가증권의 모조품, 변조품, 모조품 등반입 제한 물품 : 총기, 마약, 멸종위기의 야생동식물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에서 규정한 동식물 및 이들의 제품 등(반입제한물품은 면세범위와 관계 없이 통관에 필요한 제반요건을 구비하여야 합니다.)감사합니다.
Q. 현재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해서 다른국가들도연합해서 보복을 한느 상황인데 미국을 상대로 어떻게 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부과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보복관세로 맞서겠다고 선언하며 글로벌 무역전쟁은 현실화 되었습니다.미국은 캐나다, 멕시코산 수입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10%의 관세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캐나다도 미국산 수입품에 25%의 보복관세를 단계적으로 부과하겠다고 하였으며, 멕시코는 국익을 방어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실행하라고 지시하였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가 WTO 규정 위반을 주장하며 WTO에 제소할 것이며, 상응하는 반격 조치를 취해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에 대해서도 관세부과를 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이럴 경우 추가적인 관세 부과 국가가 발생할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철강, 반도체 등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으므로 피해가 불가피해 보입니다.우리나라도 관세부과에 따른 피해와 해결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도 비슷할 것으로 생각됩니다.보복관세나, 비관세 조치 WTO 제소 등의 방안이 있을 수 있으나 무역전쟁이 장기화 된다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원만한 해결책이 마련되어 무역전쟁이 장기화 되지 않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