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학문
역사
2023년 3월 2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사형제도 폐지 국가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형제를 사실상 폐지한 나라가 우리나라입니다. 사형제를 사법체계의 형벌로 남겨두었지만 사형집행을 오랫동안 하지 않아 사실상의 폐지국가로 있는 것입니다. 사형은 사법상 실수를 영원히 되돌릴 수 없는 형벌입니다. 박정희 정부 때 인혁당 사건으로 8시간만에 여러 사람을 사형에 처한 적이 있습니다. 이들은 나중에 인권탄압의 사례로 사법의 암흑을 상징했습니다. 현대 국가들 증 사형을 집행하지 않는 선진국이 많습니다. 무기징역으로 대체하는 것은 사법상이지만 국가가 살인을 저지르는 우를 범하지 않으려는 것입니다.하지만 피해자의 억울함이 문제가 되지만 생명을 앗아간 이에게 생명을 앗아가는 것은 고대 함부라비 법의 보복주의의 사례로 인권을 중시하는 추세와 맞지 않습니다.
역사
2023년 3월 26일 작성 됨
Q.
장수왕은 왜 북벌보다는 한반도에 집중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개토 대왕이 역으로 광대한 북방영토를 개척했기에 남은 지역이 별로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광개토대왕과 장수왕의 시기 중국은 분열되어 있었지만 아무래도 중국쪽으로 진출하는 것은 강대한 고구려로서도 부담이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더 북쪽은 토지가 비옥하지 않고 인구도 많지 않았습니다.이에반해 한강유역은 인구와 물산이 풍부하고 수로를 이용할 수 있는 굉장히 전략적 가치가 있는 것이었습니다. 장수왕이 효용성과 전략적 가치가 있는 한강 유역에 집중했던 것이 아닐까 합니다.
역사
2023년 3월 26일 작성 됨
Q.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는 나라는 어느나라인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아시아에서 유교를 받아들인 나라들이 제사문화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일본과 베트남이 그렀습니다. 한자문화권이라는 또다른 공통점이 있습니다. 고대의 법령이 율령을 도입한 것도 비슷한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문화권의 문화요소로는 일반적으로 유교, 한자, 율령, 불교를 꼽습니다.
역사
2023년 3월 26일 작성 됨
Q.
국공내전에서 국민당은 왜 패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민당은 오만했고 부패했으며 권위적이어서 민중의 지지를 잃었기 때문입니다. 더 우월한 재정력과 군사력을 겆고 있었음에도 미국의 지원속에서도 패배한 것입니다. 이에 반해 마오쩌둥의 공산당은 대장정의 위기 속에서도 살아남았고 농촌의 지지로 승리했습니다. 농촌에서 토지개혁을 하고 친일지주를 숙청하여 농민의 지지를 얻었습니다. 마오의 공산당은 전투 중에도 인근 농촌을 수탈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국공내전이 벌어지면 벌어질수록 공산당의 홍군 수는 늘어나고 지지자도 많아졌습니다.초기 패배와 불리 속에서도 위기 속에서도 모범적 리더십을 보인 마오쩌둥의 역할 또한 작지 않았습니다.
역사
2023년 3월 26일 작성 됨
Q.
세조는 왕이 된 이후로는 나라를 잘 다스렸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조는 집권 후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구축합니다.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6조판서가 의정부 정승을 거치지 않고 왕에게 직접 보고하고 직접 왕명을 받아 정책으로 실행하는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3정승의 권한이 대폭 축소된 것입니다.이시애의 난을 진압하고 유향소를 폐지해 토호세력의 득세를 막았습니다. 또한 국방을 튼튼히 하였습니다. 진관체제로 군사체계를 개편하고 중앙군으로 5위를 두었습니다. 북방 이민족의 분란을 평정하고 호패제 등을 강화하여 군사력의 내실을 다졌습니다.과전법이 전직 관리까지 대상인 것을 재정을 위하여 현직 관리에게만 수여하는 직전법으로 개편하였습니다. 또한 각종 문물을 정비하였습니다.계유정난으로 많은 숙청을 통해서 집권한 세조는 체제접비를 하여 조선을 튼튼히 하는 데 그 공로를 인정받습니다. 태종 이방원과 비슷하게 집권하였으나 왕권강화 등 체제 정비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