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부터 유교사상이 대세가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는 왕이나 황제가 나라를 통치하기에 유리한 측면이 강했습니다. 충과 효를 강조하고 신분질서와 위계질서가 잘 유지되지요. 그래서 중국 왕조 대부분이 유교를 중시하고 통치이념으로 썼습니다. 한, 당, 송, 명의 한족 왕조가 대표적이지요.우리나라도 유교를 수용했습니다. 유교가 통치이념으로 정식 시작한 것은 고려 성종 대입니다. 이따부터 유교가 통치이녕이 되었지만 고려는 불교국가이기도 했습니다.생활문화는 불교, 정치이념은 유교로 이원화한 것이지요.조선은 고려말 성리학을 수용한 유학자 즉 신진사대부들이 이성계 즉 신흥무인과 손을 잡고 건국하였습니다. 건국의 정당성 확보에 불교를 지목했고 그 폐단을 강조했지요. 따라서 조선은 정치와 생활문화 모두 성리학으로 삼았습니다.흥선대원군 대 통상수교거부정책이 근대화에 역행한 측면이 있지만 이 제국주의 시대에 근대화에 성공한 유일한 비서양국가는 일본 뿐입니다. 그 수많은 나라들이 서구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가 되었는데 힘이 곧 진리인 시대였습니다. 개항을 스스로 했더라도 근대국가를 만드는 것은 또다른 차원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일본은 개항과 이에 따른 불만이 겹쳐 하급무사들이 쿠데타를 일으켰고 그것이 성공했습니다. 메이지유신이지요. 메이지유신으로 일본은 막부체제가 붕괴되고 근대천황제 국가가 되고 적극적으로 서구문물을 받아들이고 근대화에 성공했습니다. 그 뒤의 길은 서구제국주의 국가들처럼 걷게 되었고 식민지 확보와 팽창, 전쟁의 길로 빠진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