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언제쯤이면 일상생활에 핵융합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많은 연구와 기술 개발 등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전소 건설과 운영에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삼중수조 같은 연료를 확보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그리고 초고온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최근 핵심기술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미국, 중국, 독일, 영국 등에서 2030년 초중반으로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 상횽화를 목표로 계획하고 잇습니다.
Q. 지구온난화가 해결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현재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면서 전세계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범인 탄소를 줄이고 탄소중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노력한다고 해도 산업발달로 탄소배출이 높아져 기온 상승, 해수면상승, 이상기후현상, 식량감소, 생태계파괴, 난민증가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를 완전히 해결하기는 힘들겠지만 지구열대화를 막기위함 이라고 보는 것이 맞는듯 합니다. 미래에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지만 공상과학영화 처럼 사람이 살 수 없는것을 대비하여 우주에 지구를 대신할 수 있는 행성을 찾고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것을 막기위해 전세계는 하나가 되어 탄소중립을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에너지와 관련된 정책을 늘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후손들에게 우주에 하나뿐인 아름다운 지구를 물려줘야 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Q.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아직까진 공부 잘하는게, 좋은걸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학력이 우선시 되고 있는 사회라 할 수 있습니다. 1차적으로 학력이 우선이 되고 그다음 인성, 기질, 사회성, 재능 등을 보는 경향이 많습니다. 하지만 특정된 기질로 재능이 있는 경우 그분야에서 인정받고 성공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무조건 공부와 학력이 중요한 부분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