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발목 삐었는데 완전히 파열된걸까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보통 파열의 구분은 증상으로 판단합니다. 인대 파열은 1, 2, 3단계로 나눕니다. 부종과 열감이 심하게 나타나면 2,3 단계 파열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초음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정확합니다.완전 파열이 아니더라도 안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깁스나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열감, 부종, 통증이 지속된다면 가능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Q. 허리 협착증이 심하면 수술밖에 방법이없나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80세에 허리협착증 진단을 받고 통증 클리닉에서 주사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수술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지만, 반드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수술이 허리협착증에 효과적일 수 있찌만, 고령의 환자에게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의 장점은 신경 압박을 완화하고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수술 후 회복 기간과 합병증의 위험은 나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습니다.수술은 중요한 결정이므로, 다양한 치료 옵션을 신중히 고려하고,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Q. 복부개복수술 후 유산소운동은 언제부터 해도되나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복부 개복수술 후에는 회복 속도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수술 부위의 치유와 회복이 중요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인공막을 사용한 경우, 탈장을 방지하기 위해 복압을 주지 말라는 지침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일반적으로 수술 후 최소 6조 정도는 강도 높은 운동이나 무리한 활동을 피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정강도의 사이클은 복부에 큰 압박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4주째 되는 시점에서 주치의의 허락을 받는다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꼭 주치의와 상의 후에 운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