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근로소득세 연말정산이 아니라 달달이 나가는 갑근세(근로소득세)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월별 근로소득세(갑근세)는 회사가 급여에서 원천징수하는 세금으로, 급여 - 비과세 소득 - 근로소득공제 후 남은 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해 계산됩니다. 비과세 항목(식대 등)을 제외하고, 급여에 따라 근로소득공제를 차감한 뒤 과세표준을 구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 300만 원에서 비과세 10만 원과 근로소득공제 108만 원을 제외하면 과세표준은 182만 원, 6% 세율 적용 시 세액은 약 10,920원입니다. 원천징수한 세금은 연말정산에서 실제 연간 소득과 공제 항목을 반영해 정산됩니다. 원천징수한 세금이 많으면 환급, 적으면 추가 납부됩니다. 정확한 계산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Q. p2p대출 수익에 대한 세금은 종합금융소득 과표 기준에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P2P 대출 투자를 통해 얻은 이자 소득은 '비영업대금의 이익'으로 분류되며, 원천징수세율 27.5%가 적용됩니다. 연간 이자 및 배당 소득의 합계가 2,000만 원을 초과하면, 해당 소득은 다른 종합소득과 합산되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P2P 대출로 얻은 이자 소득은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에 포함되어, 일정 금액을 초과할 경우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Q. 올해 남은 연차수당이 올해 연말정산에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연말정산 시에는 해당 과세 연도에 근로자가 받은 모든 소득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올해 발생한 미사용 연차에 대한 수당이 올해 말에 지급된다면, 이는 올해 소득으로 간주되어 내년 초에 실시하는 연말정산에 포함됩니다. 반면, 올해 발생한 미사용 연차수당이 내년 초에 지급된다면, 이는 내년 소득으로 간주되어 그 다음 해에 실시하는 연말정산에 포함됩니다.결론적으로, 연차수당이 지급된 시점에 따라 해당 소득이 포함되는 연말정산 연도가 결정됩니다.따라서, 연차수당이 언제 지급되는지에 따라 그 수당이 포함되는 연말정산 시기가 달라집니다.
Q. 유투브의 슈퍼챗으로 1억수입을 얻을경우, 개인이 내는 세금은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유튜브의 슈퍼챗을 통해 1억 원의 수입을 얻은 경우, 유튜브는 수수료로 30%를 차감하며, 이는 3천만 원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크리에이터는 7천만 원을 수령하게 됩니다.이 수익은 사업소득으로 간주되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종합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6%에서 45%까지 누진세율이 적용되며, 7천만 원의 소득에 대한 세율은 약 24%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약 1,680만 원의 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며, 이를 제외한 약 5,320만 원이 최종 수령액이 됩니다. (기장을 통해서 사업소득 경비반영하면 더 줄일수도있습니다)유튜브는 수수료로 차감한 3천만 원에 대해 별도의 세금을 납부하지 않습니다.
Q. 연말정산은 공제받은 돈은 몇월 월급에 들어오나요?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연말정산 결과에 따른 환급금은 일반적으로 2월 급여 지급 시 함께 지급됩니다. 이는 회사마다 일정이 다를 수 있어, 일부 기업은 3월 급여에 반영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지급 시기는 근무하시는 회사의 연말정산 처리 일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연말정산 환급금은 근로자가 제출한 공제 항목과 회사의 원천징수 내역을 토대로 계산되며, 회사는 이를 국세청에 신고한 후 환급금을 지급합니다. 만약 추가로 납부해야 할 세금이 있는 경우, 회사에 신청하면 2월부터 4월까지의 급여에서 분할 납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말정산 환급금이나 추가 납부액은 회사의 처리 일정과 국세청의 승인 절차에 따라 지급되거나 공제됩니다.정확한 지급 시기를 확인하시려면 회사의 인사팀이나 재무팀에 문의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Q. 종이영수증을 모아두는게 좋다고 들었는데,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카드사에서 발급받은 사용내역 엑셀은 대부분 세무조사에서 인정되지만, 종이영수증은 구체적인 증빙이 필요할 때 중요합니다. 카드내역은 지출 용도나 세부 내역이 불분명할 수 있어 접대비나 출장비 등은 종이영수증이 유리합니다. 대신, 영수증을 사진으로 찍어 디지털 보관하면 관리가 쉽고 공간도 절약됩니다. 꼭 종이영수증을 모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영수증은 최소한 스캔하거나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 시 카드 내역과 병행해 증빙 자료로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