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4살 아기 사달라는 장난감 그냥 사줘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모든 부모는 아이가 부족함 없이 자라길 바라며 좋은 장난감을 사주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장난감을 사주기 시작하면 경제관념을 익힐 수 없고 참을성,절제 능력이 떨어집니다. 무조건 원하는 물건을 사주기 보다 아이와 실컷 놀며 정서적인 안정감, 부모와의 관계에서 오는 즐거움을 알려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이는 오히려 물건이 부족할 때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것이 무언지, 무엇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지 깨닫게 됩니다. 아이들은 상상력과 창의력이 넘치는 존재 입니다. 한가지 장난감으로도 수십 가지 놀이를 만드는 능력을 지녔습니다. 하지만 장난감이나, 책, 옷 등 자신의 물건이 너무 많을 때 새로운 물건의 신기함에 몰두한 나머지 오히려 집중하는 기회를 놓치고 맙니다. 단 지나친 결핍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부모는 풍요와 결핍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는 중심축 역할을 해야 합니다.
Q. 아이들에게 장난감 종류가 많을 수록 좋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엇애218입니다.아이의 연령을 정확히 알 순 없지만 아이들이 잘 놀기 위해서는 좋은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단순한 장난감이 충부한것으로 충분하지 않고 마음껏 안전하게 놀 수 잇는 공간, 편안하고 여유로운 시간, 함께 어울려 놀 수 있는 또래와 형, 누나,어른들과 같은 관계적 여건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요즘은 물질적으로는 엄청 풍요해서 장난감을 넘쳐나지만 놀이친구나 놀이 시간은 축소되고 있다.장난감이 많다고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연령에 알맞은 장난감 한두개라도 어떻게 노는 방법을 가르켜주는 것이 중요한것 같다. 그러기 위해선 부모가 기꺼이 관계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아이오 함께 한다면 그 어떤 것 보다도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