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입시스타일만 보고 과를 정하는건..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회화과나 디자인과 둘 모두 개인의 창의력이 필요한 분야인데, 회화과의 경우에는 좀 더 자유로운 표현과 실험이 가능하여 자신만의 스타일을 개발할 수 있고 또 다양한 회화의 역사,기법,이론 등을 공부하여 예술적 감각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취업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회화 전공이 상업적으로 직접적 연결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디자인과의 경우에는 상업적 요구에 부합해야하는 작업 위주로 돌아가고, 졸업 후 취업의 기회는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습니다.또한, 디자인의 경우에는 혼자 작업하는 경우도 있지만 팀과 협업하는 경우가 많고 디자인 분야에도 그래픽디자인, 제품, 패션 디자인등 다양하기 때문에 또 그 안에서 선택을 해야 합니다.그리고 결론적으로 입시스타일만 보고 전공을 정하기보다는 본인이 위와 같은 각각의 특성에 더 잘맞는 즐기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전공을 선택하셔야 오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Q. 디지털 아트의 대중화가 미술 시장에 미친 영향에 관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이 시대의 디지털 아트는 아직 명확한 정립이 되지는 않고 계속 진행형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을 하는데요.계속해서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 만큼이나 이를 또 발빠르게 예술에 적용하는 분들도 많기 때문입니다.그 중에서도 앞으로의 디지털 대중화에 NFT 시장은 빠질 수 없는 요소인 것 같은데,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블록체인 기술로 인증하고,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을 판매할 수 있는 미술시장의 새로운 구조이기 때문입니다.또한, 앞으로의 전시도 지금까지 현장 전시회, 갤러리가 많지만, 점점 온라인 갤러리, 소셜미디어에서의 작품을 선보이고 소비자들과 더 많이 연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이에 인공지능,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의 최신기술이 예술적 경험과 융합하여 새로운 장르가 더 자리잡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Q. 조선시대 대표하는 4대화가는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대표적인 4대 화가를 뽑자면,안견(15세기, 주로 산수화, 몽유도원도 등), 금홍도(18세기, 풍속화의 대가, 대표작 서당 등), 정선(18세기, 산수화 대가, 인왕제색도 등), 장승업(19세기, 다양한 주제를 그렸고 특히 풍속화,초상화에서 두각, 조선 후기 사회적 변화와 함께 현대작 감각을 반영) 등이 있겠습니다.
Q. 풍경화 그림을 잘 그리는 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풍경화를 그리는 기법에도 다양한데요.사실적으로 정밀하게 그리는 스타일도 있고, 몽환적, 인상주의 느낌으로도 그리는 경우도 있고, 또 풍경화를 그리는 재료에 따라서도 그 느낌이 달라집니다. 펜화, 수채화, 과슈수채화, 유화물감 등또, 원근법이나 구도를 엄격하게 지키는 경우도 있고, 이를 파괴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그리는 경우도 있는데, 자연을 자주 관찰하고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날씨와 풍경, 색채 등을 포착하여 여러번 그려보고 시도하다보면 자신의 감정까지도 담아낼 수 있는 풍경화를 그릴 수 있지 않을까 싶구요.자신만의 색상 팔레트를 개발해서 자주 사용하는 색상 조합을 정리하고 사용하다보면 자신만의 풍경화를 완성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Q. 표암강세황에 대해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표암 강세황은 조선 후기 대표 문인화가이자, 어릴때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유복한 가정에서 자랐고, 어린시절부터 문학과 예술에 대한 재능을 보였다고 하는데요.성리학을 통해 문인으로서의 기초를 다졌고, 화가로서의 경력도 쌓았는데, 여러 문인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합니다.그리고 그의 작품은 자연을 주세로 섬세한 필치와 깊은 감성을 표현한 독창적인 작품으로, 작품에서 뛰어난 관찰력과 예술적 감각을 보여줍니다.또한, 시와 글씨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는데, 특히 그의 서예는 정교하고 아름답기로도 유명하다고 하는데요. 이후에는 후진 양성에도 힘쓰고 많은 제자들에게 예술과 문학을 가르쳤다고 합니다.